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철조여래좌상이다. 충남 서산시 운산면 절터에서 출토된 불상으로 보원사에 모셔졌던 것으로 보인다. 석굴암 본존불과 형태나 양식적으로 거의 유사한 불상이다. 8세기 중엽에 조성된 불상으로 현재 출토된 철불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일신라말~고려초에 조성된 철조불상의 양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보원사는 화엄십찰 중 하나로 충남 서해안 일대에서 상당히 유서깊고 큰 사찰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폐사되었다.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마애여래삼존상(국보)에서 보원사 절터에서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 북조와 백제를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이자 불교문화 전파 경로에 있던 유서깊은 큰 사찰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폐사되었다. 절터에는 석조(보물), 당간지주(보물), 오층석탑(보물), 법인국사탑(보물) 등 문화재들이 남아 있다.
쇠로 만든 이 부처는 1918년 충남 서산시 운산면에서 옮겨온 것이다.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석가모니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머리에 생동감 넘치는 얼굴, 당당한 어깨와 풍만한 가슴, 그리고 결가부좌한 다리의 넘치는 양감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과 매우 비슷하다. 형식화된 9세기 철불과 확연히 구별되는 것으로 보아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나라 철불 가운데 가장 앞선 시기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처의 머리 위에 설치된 집모형은 ‘닫집’,’천개’ 또는 보개’라고도 하는데 이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 내부의 닫집을 복원한 것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1년)
<출처>
-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1년
- 안내문, 서산시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