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보물)이다. 상감기법으로 위쪽에 보자기무늬가 새겨져 있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가리 주위로 정사각형 보자기를 엎어두고 있는 것처럼 상감양식으로 보자지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몸통에은 4면에 모란꽃과 모란잎, 구름무늬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비교적 고른 태토에 청회색계통의 유약을 입혔는데, 전북 부안군 가마터에서 출토된 청자 파편들과 비슷하다 한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매병(梅甁)은 고려시대에 많이 볼 수 있는 청자의 형태로 인삼주나 매화주 같은 고급술을 담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 11세기경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여 15세기경까지 널리 만들어져 사용되었다고 한다. 풍만한 어깨, 작게 오므린 입, 몸체 하부까지 연결되는 볼륨감있는 몸매를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곡선미가 특징이다.
실제로 사용했던 것처럼 위쪽에 보자기무늬를 상감기법으로 장식하고 있다. 보자기를 기준으로 4면에 모란무늬를 음각으로 새겨놓고 있다.
청자 상감 보자기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매병이 어깨 윗면에 화려한 조각보 장식이 상감되었다. 이 무늬는 뚜껑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파손을 막고 장식이 돋보이도록 부드러운 비단 조각보를 올려 놓았던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출처>
-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 ‘보물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