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통일신라
-
[익산 왕궁리유적 전시관] 사찰로의 변화.
왕궁리유적지는 오층석탑(국보)의 존재로 사찰이 있었던 절터로 알려져 있었다. 이곳이 언제 사찰로 바뀌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체로 무왕이 죽은뒤 그를 기리는 원찰로 성격이 바뀐것으로 보고 있다. 왕궁 중심부에 있던 중요 건물을 설치하고 목탑, 금당, 강당이 일직선상에 배치된 전형적인 백제의 1탑 1금당식 사찰이 조성되었다. 통일신라 때 사찰이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찰과 관련된 유 물들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
곡성 동리산 태안사, 통일신라 선종 동리산파 중심 사찰
전남 곡성군 죽곡면 동리산 자락에 있는 태안사(泰安寺)이다. 통일신라 선종을 이끌었던 승려 혜철이 크게 중창하면서 구산선문 동리산파 중심사찰이 되었다. 고려가 건국된 이후 광자대사 윤다가 크게 중창하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로 자리잡았다. 고려중기 송광사가 수선결사의 중심사찰이 되면서 그 위상이 축소되었으나, 조선초 효령대군이 머물면서 국가의 지원을 받는 사찰이 되었다. 한때 40여동의 건물이 있었던 큰 사찰이었나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으며 최근에 전각들이…
-
화순 계당산 쌍봉사, 목탑 형식의 불전이 남아 있는 사찰
전남 화순군 이양면에 있는 쌍봉사(雙峯寺)이다. 통일신라 말 중국에서 선종을 공부하고 돌아온 철감선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선종 구산선문에 속하지는 않지만 철감선사의 제자 징효가 영월 흥녕사에서 사자산문을 열었다. 고려초에는 크게 쇠퇴했던 것으로 보이며 고려중기 혜소국사가 크게 중건하였으며 이후 조선시대에도 여러차례 중건이 있었다. 사찰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통일신라말 선종을 이끌었던 주요 사찰 중 한 곳이다. 사찰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
장흥 가지산 보림사, 통일신라 선종 가지산파를 이끌었던 사찰
전남 장흥군 유치면 가지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보림사(寶林寺)이다. 통일신라 말 선종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가지산파의 중심사찰이었다. 통일신라 말 중국에서 선종을 배운 승려 체징이 헌안왕의 권유로 860년 이곳에 보림사를 창건하였다. 보림사는 중국 선종을 이끌었던 혜능이 있었던 사찰로 헌강왕이 보림사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한국전쟁 이전까지는 20여동 전각을 갖춘 큰 사찰이었으나 천왕문 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불타 버린 것을 최근에…
-
보령 성주사지 석등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석등이다. 8각형 평면의 3단의 받침돌과 화개석, 지붕돌로 구성된 높이 2.2 m의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 모야을 하고 있다. 화사석은 4면에 창을 두고 있다. 조각수법이 비교적 많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는 양호한 편이다. 불을 밝히는 등(燈)은 인류의 문명생활과…
-
경주읍성터 출토된 거대한 석등
경북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야외에 전시되고 있는 석등이다. 통일신라 석등 중 가장 큰 규모인 높이 5.63 cm의 석등이다. 원래 경주읍성에 아래받침돌, 가운데 받침돌, 윗받침돌 일부난 남아 있던 것을 복원해 놓은 것이다. 8각형 평면으로 아래받침돌 옆면에는 신장상을 새겼다. 아래받침돌 윗부분과 윗받침돌에는 서러 마주보는 형태로 연꽃잎을 크고 입체감있게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모양을 하고 있다. 화사석과 지붕돌은 남아…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국보)이다. 석등은 높이 2.97 m 이며 통일신라 석등의 표준이 되는 형태를 하고 있다. 8각형 평면의 기둥처럼 만든 기단 위에 화사석을 올려 놓았다. 석등을 받치는 바닥돌 옆에는 안상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 아래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처럼 만들었으며 그 위 연꽃무늬가 새겨진 윗받침돌을 올려 놓았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통일신라 철당간
충남 공주시 계룡산 갑사에 남아 있는 철당간(보물)이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로 갑사가 통일신라 화업십찰 중 하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당간은 사찰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사찰 입구에 세워진다. 네모난 기단 위에 철당간을 세우고 그 옆에 당간지주를 세워 지탱하고 있다. 당간의 높이는 15 m이고 당간지주의 높이는 3m이다. 당간은 원래 28개 철통을 연결해서 만들었는데 지금은 24개가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