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능묘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의 왕릉과 지배층의 무덤으로는 한성백제기의 돌무지무덤인 석촌동 고분(사적), 웅진기의 송산리고분군(사적), 사비기의 능산리 고분군(사적)와 익산 쌍릉(사적)가 있다. 그 중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곳으로는 공주 무령왕릉이 있다. 백제의 무덤 형식은 초기에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이었지만 이후 중국 북조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돌방무덤이 주로 사용되었다. 중국 남조와…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사찰과 불교문화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 불교는 4세기 중국 남조 동진으로부터 인도 승려 마라난타에 의해 전래되면서 시작하였다. 웅진기 백제 때에는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국보),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상(국보)같은 불교 유적이 남아 있지만 공주에는 큰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지는 않다. 백제 불교는 성왕이 도읍을 옮기면서 정림사를 세우면서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화가 크게 융성했다.…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인의 일상생활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가 한강 이남으로 물러난 웅진기, 사비기의 백제 사람들이 살았던 모습들은 당시 도읍이었던 공주 공산성, 부여 도성, 익산 왕궁리에 조성했던 궁궐터 등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부여 부소산성 아래 궁궐터 주변과 익산 왕궁리에서는 화려한 공예품들을 만들어 지배계층에 공급했던 공방터를 비롯하여, 제기 등을 보관했던 창고,…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무기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멸망하였다. 백제가 마지막으로 저항했던 부여 부소산성과 공주 공산성에서는 당시 백제의 무기들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백제의 무기로는 활과 대도, 환두대도, 쇠낫, 쇠갈고리창, 쇠창 등이 있다. 출토된 무기들은 고구려나 신라의 무기류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공주 공산성 저수시설에서…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크메르 미술과 문화

    크메르(Khmer)는 9~13세기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당시 태국,베트남,말레이지아의 일부를 포함하는 대제국을 건설했던 동남아시아 왕조이다. 크메르왕국의 화려함은 힌두교사원인 앙코르와트에서 잘 나타나 있다. 왕국의 수도 앙코르에는 앙코르와트를 중심으로 힌두교, 불교 사원과 궁궐 건물을 비롯하여 도시를 구성하였던 많은 유적들이 남아 있다고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동남아시아 크메르 문화를 간략하게 이해할 수 있는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크메르인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쳤던 힌두교 신들을…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시실] 베트남의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3층 인도.동남아시아실에는 동남아시아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전시공간이 크지 않은 규모로 마련되어 있다.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상당히 큰 국가이다. 중앙박물관에는 베트남의 대표적인 고대문화인 동선문화를 대표하는 청동북을 전시하고 있다. 베트남의 동선문화는 기원전 4세기 이후에 형성되었던 청동기문화로 청동북을 비롯하여 화려한 청동기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베트남의 고대문화 베트남의 고대 문화 중에서 잘 알려진 것은…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석굴사원과 벽화, 중앙아시아 사막의 불교문화

    석굴사원은 수도자들이 더위와 비를 피하여 명상을 하기 위해 바위로 된 벼랑에 동굴을 파서 만들었다. 기원전 3세기 인도 아소카왕때 처음 생겼으며, 아프카니스탄,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과 한국에도 전해졌다. 인도의 아잔타 석굴, 아프카니스탄의 바미안 석굴, 중앙아시아의 키질, 투루판 베제클릭, 둔황석굴, 중국의 윈강 석굴 등이 규모도 크고 잘 알려진 석굴들이다. 우리나라에는 화강석 석재로 인공적으로 조성은 석굴암이 대표적이다. 특히, 막고굴이라…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중앙아시아의 불교조각

    중국 신강 위그루 자치구에 위치한 호탄(和田)은 타림분지 남서쪽에 위치한 고대의 왕국이다. 옥(玉) 생산지였던 대월지(大月氏)가 있었던 곳으로 고대 동.서교역로에서 중요한 거점이었다. 한무제때 실크로드가 개척된 이후 서역문화와, 불교의 전파에 큰 역할을 했던 곳이다. 투루판은 한나라때 흉노를 견제하기 위해 한인들이 거주한 이래로 당나라때 고창국을 비롯한 한족의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지역중심지였던 교하고성, 고창고성을 비롯하여 주변 계곡 등에 많은 불교…

  • [중앙박물관 중앙아시아실] 주거지 유적과 무덤 출토 유물

    실크로드(Silk Road)는 중국 서안에서 출발하여 중앙아시아 사막과 초원지대를 지나 페르시아를 거쳐 로마의 비잔티움으로 연결되는 길이다. 고대 이래로 동.서 교역로이자 문화교류의 통로였다. 실크로드 상에 존재했던 정치와 문화의 중심지였던 니야, 누란, 호탄, 투르판 등지에서는 많은 주거지와 무덤이 발견되고 있으며, 그곳에서는 당시의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 중에는 중앙아시아 사막의 건조한 기후 때문에 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