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창덕궁

  • 창덕궁 동궁, 세자 서연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궁궐에서 정전 동쪽에는 세자가 거처하는 동궁(東宮)이, 서쪽에는 국왕을 가까운 곳에서 보필하는 관청들인 궐내각사가, 뒷편에는 국왕의 업무공간인 편전과 생활공간인 침전이 자리하고 있다. 창덕궁에서는 편전과 침전이 정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궁은 편전인 희정당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동궐도 동궁영역에는 생활공간인 중희당을 중심으로 세자의 교육을 위해 서연(書筵)이 열렸던 성정각과 관물헌, 그리고 부속 건물과 행각들로 이루어져 있다. 동궁 동쪽으로는 지금은…

  • 창덕궁 침전, 국왕의 생활공간 대조전(보물) 일원

    창덕궁은 삼조제도(三朝制度)에 따라 신하들의 공간인 외조(外朝), 국왕이 정무를 보는 치조(治朝), 왕과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가 분리되어 있는데, 경복궁과는 달리 자연지세에 순응하여 치조의 중심공간인 정전 동쪽에 연조가 자리잡고 있다. 창덕궁 대조전은 국왕과 왕비가 거처하는 공간으로 국왕의 일상적인 업무공간인 희정당 뒷편에 자리잡고 있다. 창덕궁 연조는 국왕 침전인 강녕전과 왕비 침전인 교태전이 분리된 경복궁과는 달리 대조전에 국왕과 왕비의 침전이…

  • 창덕궁 편전, 국왕의 업무공간 선정전과 희정당

    궁궐의 공간은 크게 관청들이 배치되는 외조, 왕이 정치를 하는 치조, 왕과 왕비가 생활하는 연조로 나누는데 남북 방향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조선의 법궁으로 세워진 경복궁이 이런 법칙에 따라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 반면에 창덕궁은 태종때 상왕을 위한 이궁으로 세워진 궁궐로 자연지세에 순응하는 형태로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 창덕궁 앞에는 종묘가 있어 정문인 돈화문이 남서쪽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고,…

  • 창덕궁 궐내각사, 국왕을 보필하던 직속 관청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최근에 복원한 관아 건물인 궐내각사이다. 궐내각사는 의사결정기구인 의정부, 집행기관인 육조와 달리 국왕을 보필하는 직속기관이다. 왕의 정치를 보좌하는 홍문관, 왕의 칙령과 교서를 작성하고 보하던 예문관, 국왕직속 학술기관인 규장각과 장서 발행을 주관하는 검서청, 왕의 건강을 관리하는 내의원 등이 있었고, 그 뒷편으로 역대 국왕의 어진을 모신 선원전이 자리잡고 있다. 궐내각사는 창덕궁 정전 서쪽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