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창덕궁
-
홍문관과 예문관, 국왕의 정책을 자문하고 보필하는 기관
창덕궁 금천 동쪽편에는 궐내각사로 홍문관, 예문관, 내의원 등이 정전인 창덕궁 인정전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다. 홍문관은 원래 왕실을 서적을 관리하고 국왕을 자문을 정책연구기관이었다. 반면에 예문관은 승정원처럼 국왕의 말과 글을 대신 짓는 등 실무적으로 국왕을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보좌하는 기관이다. 창덕궁 궐내각사 중 국왕과 가장 가까운 곳에 예문관과 내의원이 위치하고 있고, 그 앞쪽에 국정을 자문하는 홍문관이…
-
규장각, 정조대 문예부흥을 이끌었던 학술연구기관
규장각은 원래 숙종대에 왕이 지은 글인 어제와 왕의 글씨인 어필을 봉안하기 위해 지은 작은 건물이었으나, 정조대에 규장각을 확장하여 창덕궁 후원에 2층건물을 짓고 1층에 규장각 현판을 걸고 정식 정부기관으로 자리잡았다. 정조는 규장각에 기존의 어재.어필 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방대한 도서를 수집.정리하게 하였으며, 당대 최고의 인재들과 함께 많은 도서들을 간행하였다. 정조가 규장각을 설치했을 당시 규장각에는 국내서적 약 1만여점,…
-
창덕궁 후원 연경당(보물), 효명세자가 아버지 순조를 위해 사대부 저택처럼 지은 공간
창덕궁 후원 2번째 공간인 애련지 일원에 위치한 연경당(보물)은 낙선재와 함께 궁궐 건물 형식을 취하지 않고 사대부 저택처럼 지어진 건물이다. 궁궐생활에 탈피하여 조용한 숲속에서 사대부 저택처럼 집을 짓고 휴식을 취하고 싶은 구한말 국왕들의 취향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특히, 국왕에 즉위하기 전 어린 시절을 사가(私家)에서 보냈던 고종은 궁궐보다는 사대부 저택을 선호하여 이곳 연경당을 애호했으며, 경복궁에도 후원에…
-
창덕궁 후원, 옥류천일원
창덕궁 후원 깊은 곳에 위치한 옥류천 일원이다. 이곳은 옥류천 물길을 널찍한 바위인 소요암 위를 흐르게 만든 어정(御井)을 중심으로 작은 정자들인 소요정, 취한정,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이 모여 있다. 이들 정자들은 농산정을 제외하고는 국왕이 비를 피하거나 잠시 쉬어갈 수 있는 1~3칸규모의 작은 정자이다. 옥류천 일대 정자들은 대부분 인조대에 지어진 것으로 기록에 남아 있으며, 옥류천(玉流川)일 적힌 선조의 글씨가…
-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폄우사
창덕궁 후원 3번째 공간은 한반도 모양을 하고 있는 연못인 반도지(半島池)를 중심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영화당과 규장각 주합루가 있는 부용정 부근이 공적인 성격이 강하다면, 연못 주위에 작은 정자들이 있는 반도지 일대는 국왕 개인을 위한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도지는 원래 둥근 연못 1곳과 작은 네모꼴 연못 2개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변형되었다고 한다.…
-
창덕궁 후원, 애련지와 의두합
창덕궁 후원 두번째 공간은 숙종대에 조성한 작은 연못인 애련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공간이다.애련지는 일반적인 연못과는 달리 가운데 섬이 없는 네모난 연못으로 사방에 장대석으로 축대를 쌓았으며, 한쪽편에는 숙종대에 조성된 앞면1칸짜리 정자인 애련정이 있다. 이 공간은 주로 순조의 아들로 정조를 본받아 개혁정치를 꿈구다 어린나이에 요절한 효명세자의 손길이 많이 남아 있는 공간이다. <애련지(愛蓮池)> 창덕궁 후원 첫번째 공간으로 공식 행사가…
-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주합루 그리고 영화당
창덕궁 후원은 자연 지세에 맞게 지어진 가장 한국적인 궁궐로서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창덕궁 후원은 인공적인 면이 많은 경복궁 경회로 연못이나 중국과 일본의 정원과는 달리 자연친화적인 조경을 보여 주고 가장 한국적인 정원이다. 지금은 창덕궁 정전과 국왕이 집무를 보고 가족이 생활하던 편전과 침전, 동궁을 지나서 후원으로 들어갈 수 있어 한때는 ‘비원(秘苑)’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동궐내에서 일반인들의…
-
창덕궁 선원전(보물)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창덕궁 선원전(보물)는 역대 국왕의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정전인 인정전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선원전은 임진왜란을 경복궁 선원전이 불타버린 후 숙종대에 역대 국왕의 어진을 모시기 위해 창덕궁 궐내각사 뒷편에 세웠다. 원래는 태조, 세조, 원종을 모셨던 것을 후에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 철종, 고종의 어진이 봉안되면서 11실로 구성되었다. 건물은 앞면9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종묘 정전이나 일반적인 사당과 달리 판문을…
-
창덕궁 낙선재(보물) 일원, 조선왕실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거처했던 궁궐 전각
창덕궁과 창경궁 사이에 위치한 낙선재(보물) 일원은 1846년(헌종 12)는 창건된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와 취운정.한정당.상량정, 승화루, 삼삼와, 칠분서 등을 볼 수 있는데, 승화루 등 낙선재 뒷편에 있는 건물들은 실제로는 세자가 거처하던 동궁에 속한 건물들이다. 낙선재는 헌종이 후궁이었던 경빈을 위해 지은 건물로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 경복궁 건청궁처럼 국왕이나 왕비들이 궁궐에 들어오기 전에 살았던 사대부 저택처럼 꾸며놓은 처소이다. 낙선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