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통일신라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승려 체징의 승탑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경내에 있는 보조선사탑(보물)이다. 통일신라 승려 체징(體澄)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대웅전 뒷편에 탑비(보물)과 함께 세워져 있다. 탑은 높이 4 m이며, 3단으로 된 기단 위에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렸다. 기단 아래받침돌에는 사자와 구름무늬를 입체적으로 새겼으며, 가운데 받침돌에는 안상을,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8각형의로 된 몸돌에는 앞뒤로 문짝을 새겼으며, 그 옆에는 탑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새겼다. 지붕돌을…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보물)
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 경내에 있는 철감선사탑비(보물)이다. 글이 적힌 비몸은 없어지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거북받침돌은 용의 머리와 거북모양의 몸체로 되어 있는데 앞발을 살짝 들고 있다. 머릿돌에는 용무늬는 생략하고 구름무늬만 조각되어 있다. 철감선사탑(국보)과 마찬가지로 조각수법이 세밀하고 힘이 넘친다. 머릿돌 앞쪽에는 탑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철감선사(徹鑒禪師)는 통일신라 때 승려로, 이름은 도윤(道允)이며, 호는 쌍봉(雙峯)이다. 당나라에서 불교를 공부하고…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국보), 통일신라 승탑을 대표하는 걸작
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에 있는 철감선사탑(국보)이다.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통일신라 승탑 중 뛰어난 걸작이다. 탑은 높이 2.3 m로 팔각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3단의 받침돌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아래받침돌에는 여덟마리 사자와 두마리의 용을, 가운데 받침돌에는 가릉빈가 얼굴을 새겼다. 윗받침돌과 탑신을 받치는 괴임돌은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연꽃과 전설의 동물 가릉빈가를 안상속에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
순천 선암사 동.서층석탑(보물),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통일신라 석탑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 경내에 있는 2기의 삼층석탑(보물)이다. 대웅전 앞 마당에 동.서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2개의 탑은 같은 크기와 형태를 하고 있는데,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탑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평평하게 만들었다. 기단 윗면에는 탑신을 받치는 괴임돌을 표현하고 있으며, 지붕돌 받침은…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철로 만든 대표적인 불상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대적광전에 모셔져 있는 철조비로자나불상(국보)이다. 통일신라말에 조성된 철로 만든 불상이다. 광배와 대좌는 남아 있지 않고 불상만 남아 후대의 불상처럼 닫집에 모셔져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에 비해 긴장감이나 탄력성, 사실적인 표현 등이 부족해 보이며 추상적이고 도식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철로 만든 불상이 유행했던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초의 경향을 대표하는 불상이다. 불상에 조성내력이 기록되어 있어…
-
장흥 보림사 석등(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등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경내에 있는 석등(국보)이다. 대적광전 앞 마당에 세워진 2개의 삼층석탑 가운데 세워져 있다. 석등은 높이 3.12m로 8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받침돌은 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아래받침돌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우고, 다시 윗받침돌을 올려놓고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8각형을 하고 있는데, 4면에 창을 뚫었다. 2기의 삼층석탑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전성기가 끝난…
-
장흥 보림사 남.북삼층석탑(국보),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탑이 완성된 모습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경내에 있는 2기의 삼층석탑(국보)이다. 탑은 주불전인 대적광전 앞 마당에 석등과 함께 남북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남탑이 5.4m, 북탑이 5.9m로 크지 않은 규모이다. 2개의 탑은 구조와 크기가 똑같은 쌍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았다. 불국사 삼층석탑 이후 정형화된 통일신라 석탑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석탑들이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기단을 불상대좌처럼 만든 석탑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도피안사(到彼岸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4.1m의 삼층석탑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석탑과는 달리 8각형의 돌로 기단을 쌓았는데, 불상을 받치는 대좌나 승탑을 받치는 기단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에 각각 하나의 돌을 사용하였다. 각 층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지붕돌…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보물), 화강석과 벽돌을 섞어서 만든 전탑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오층전탑(보물)이다. 이 전탑은 화강암 석재와 벽돌을 섞어서 만든 우리나라 전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층 몸돌 남쪽에는 감실을 만들었으며 그 양쪽에 인왕상을 새겼다. 벽돌로 쌓았기 때문에 지붕돌 처마 너비가 좁고, 매끈하지 않으며, 다른 전탑과는 달리 기와를 얹이 않았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세부적인 표현 등이 떨어지는 편이다. 수도였던 경주에 비해서 제작기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