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초상화
-
흥선대원군 이하응 초상화(보물)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화(보물). 구한말 최고의 어진화사 이한철이 그렸는데 다양한 복식을 하고 있는 5점의 초상화가 남아 있다. 초상화에 나타난 흥선대원군의 복식은 <흑단령포본>, <흑건청포본>, <와룡관학창의본>, <복건심의본>, <금관조복본>이 있다. 의관과 기물이 매우 화려하며 당대 최고의 화가가 그린 초상화답게 표현이 매우 뛰어난 걸작이다. 초상화와 함께 초상화를 보관했던 영덩함 등이 고스란히 전하고 있어 당시 초상화와 관련된 문화를 잘…
-
[고궁박물관 특별전, 조선왕실의 어진과 진전] 어진과 진전의 역사
2015년 겨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조선 왕실의 어진과 진전”이라는 제목의 특별전이 열렸다. 전시에서는 조선시대 왕의 초상화가 가지는 상징성, 어진 제작과정, 어진 제작에 참여했던 대표적인 화원 및 문인화가, 어진을 모셨던 다양한 진전들, 어진과 관련된 의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 조선시대 왕의 초상화가 가지는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전시회였다.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지칭하는 말이다. 왕의…
-
[중앙박물관 회화실] 초상화와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
실제 생존했던 인물의 모습을 그린 초상화는 당대의 상류층에서 가장 많은 공을 들여서 그렸던 그림이다. 이는 서양의 회화에서도 볼 수 있는 비슷한 경향으로 레오나르드다빈치가 그린 모나리자를 비롯하여 많은 걸작들이 남아 있다. 우리나라의 초상화는 왕의 초상을 그린 어진에서부터 관복을 입고 그린 사대부들의 초상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들이 그려졌다. 인물화는 작가의 주관보다는 현재의 사진과 같은 의미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