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금속공예

  •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국보)

    국립 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국보)이다. 황남대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군 98호 무덤 남분에서 출토되었다. 곱은옥 모양의 금 구슬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3개씩의 금 구슬을 연결하였다. 금사슬, 금 구슬, 곱은옥이 비례와 구성이 조화를 잘 이루고 있어 간결하면서도 세련미가 돋보인다. 푸른색의 곱은옥을 사용하지 않고 금으로 곱은옥 모양을 만든것이 특이한 유물이다. <목걸이 금, 삼국시대 5세기, 경주 황남대총, 국보>…

  • 황남대총 북분 은제관식(보물)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북분 은제관식(銀製 冠飾, 보물)이다. 황남대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군 98호 무덤 북분에서 출토되었다. 은으로 만든 관식으로 날개모양의 조익형관식(鳥翼形冠飾) 1점과 나비모양 접형관식(蝶形冠飾) 2점이 출토되었다. 금제관식에 비해 소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황남대총 북분 은제관식(보물), 접형관식> 접형관식은 2점이 출토되었다. 1장은 은판을 오려서 만들었는데 날개가 날카롭게 솟아 올랐다. 가운데 선을 중심으로 곡옥(曲玉) 모양의 눈이 대칭되게…

  • 금관총 금제 허리띠(국보)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관총 금제 허리띠(국보)이다. 금관과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유물이다. 허리띠는 원래 천이나 가죽에 덧대었던 것인데 금속제 장식만 남아 있으며, 드래개는 허리띠에 늘어뜨린 장식품을 말한다. 허리띠는 길이 109 cm로 39개의 순금제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리개는 17개로 옥(玉)같은 장식품과 칼, 향낭, 물고기 등을 표현하고 있다. 드리개는 유목민들이 이동할 때 허리띠에 매고 다녔던 생활도구들을 표현하고…

  • 금관총 금관 및 금제관식(국보)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관총 금관 및 금제관식(국보)이다.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대릉원(사적) 금관총에서 출토된 유물로 금관, 관모, 관모장식을 말하는데 신라 금관 중 가장 먼저 발견되었다. 금관은 가운데에 ‘出’자(또는 나뭇가지 모양), 양쪽에 사슴뿔모양 장식이 있는 전형적인 신라금관이다. 신라금관은 5~7세기 신라 고분에서 발견되는 유물로 서봉총, 천마총 등 5개 이상 발견된 세계적 희귀한 형태의 유물이다. 사슴뿔과 나무가지를 형상화한 시베리아…

  •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보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보물)이다.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되었다. 높이 10 cm, 지름 10 cm, 무게 169g로 이전부터 토기로 만들어졌던 굽다리접시와 같은 형태인데 나뭇잎 모양 장식 7개가 붙여져 있다. 실제 사용했던 것은 아니고 무덤에 껴묻거리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보물)>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2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 천마총 금제관식 (1978-2, 보물), 2015년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천마총 금제관식(보물)이다. 천마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 155호분에서 1973년 출토되었다. 큰 새가 날개를 펴고 있는 모양으로, 아래에는 방패모양 장식이 달려 있다. 좌우 날개에는 넝굴무늬를 파놓았으며, 표면에는 지름 0.7 cm 크기의 원판 400여 개를 연결하였다. 매우 화려해 보이는 유물로 실제로 어떻게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삼국시대 신라인의 관식문화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새날개 모양을 하고 있는…

  • 천마총 금제관식 (1978-1, 보물), 2015년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천마총 금제관식(보물)이다. 천마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 155호분에서 1973년 출토되었다. 높이 23 cm, 너비 23 cm로 가운데 새머리같은 둥근 부분이 있고 좌우에 날개모양이 있다. 머리 부분에는 2개, 좌우 날개에는 5개씩 나뭇잎 모양 구명이 있다. 일반적 새날개 모양 관식에 비해 크기가 작은편이다. 고깔모양의 관모 앞부분에 꽂아서 사용했다고 생각되지만 실제 용도는 분명하지 않다. 삼국시대…

  • 천마총 관모(국보), 2015년

    국립 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천마총 금제관모(국보)이다. 천마총이라 불리는 황남동 고분 155호분에서 1973년 출토되었다. 고깔모양의 금으로 만든 관모로 금관 안에 쓰는 모자이다. 높이 16 cm, 너비 19 cm로 모양이 다른 금판 4매를 연결하여 만들었다. 머리에 쓴 천에 꿰매거 고정시킨 수 썼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시대 신라인의 관식문화를 보여주는 유물로 상당히 화려하다. 여러가지 무늬를 화려하고 정교하게 제작한 것으로 신라…

  • 천마총 목걸이(보물), 2011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천마총 목걸이(보물)이다. 경주 황남동 대릉원 155호 무덤 천마총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천마총 내부 관(棺)에서 출토된 것으로 가슴 윗부분에 있던 것이다. 금, 은, 비취, 유리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해서 만든 화려한 장식구이다. 목걸이는 6줄로 이어져 있는데 좌우와 가운데에는 큰 굽은 옥이 매달려 있다. 삼국시대 6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름 무덤에서 출토된 목걸이에 비해 상당히 화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