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보물), 고려중기 승려 학일의 탑비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 경내에 있는 원응국사비(보물)이다. 고려중기 승려 원응국사 학일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는 탑비이다. 받침돌과 머릿돌은 남아 있지 않고 비몸만 3조각으로 잘라져 있던 것을 복원해 놓고 있다. 비의 앞면에는 그의 행적이, 뒷면에는 제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비문은 윤언이가 짓고 글씨는 명필로 알려진 승려 탄연이 쓴 것이라 한다. 원응국사 학일(1051 ~ 1144년)은 송나라에 유학하였으며, 의천이…
-
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 신라가 저수지를 쌓고 세운 비석
경북 영천시 도남동에 있는 청제비(보물)이다. 삼국시대 신라가 이곳에 청못이라는 저수지를 쌓으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직사각형 화강암 판석에 글자를 새겨 놓았는데 앞면에는 536년(신라 법흥왕 23)에 제방을 처음 쌓을 때 새긴 것이고 뒷면에는 798년(통일신라 원성왕 14) 제방을 수리하면서 새겼다. 내용은 비를 세운 연원일, 공사명칭, 규모, 내용, 동원된 인원수, 공사관계자 등이다. 비석에 새긴 내용으로 신라의 수리시설,…
-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경북 칠곡군 동명면 구덕리 송림사에 있는 오층전탑(보물)이다. 통일신라 때 중국에서 가져온 부처님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워신 탑으로 구운 벽돌로 쌓아 올린 중국풍의 전탑이다. 기단은 석탑과 마찬가지로 화강암 석재를 가구식으로 조립하여 쌓았으며 그 위에 벽돌로 탑신을 쌓아 올렸다. 전체 높이 16 m로 상당히 높은 편인데 각층의 지붕돌을 넓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꼭대기에는 금동으로 만든…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 탑 및 비(보물)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인각사에 있는 보각국사탑과 비(보물)이다. 보각국사는 고려중기에 활동한 승려로 <삼국유사>를 저술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탑은 바닥돌 위에 8각의 받침돌을 놓고 그 위에 몸돌과 지붕돌이 있는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전형적인 승탑이다. 몸돌 앞면에는 탑이름, 뒷면에는 문모양이 조각되어 있으며 나머지 면에는 사천왕상과 보살상을 새겨 놓고 있다. 탑비는 당대 문장가인 민지가 지었으며, 글씨는 왕희지의…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과 비(보물)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전리 용문사에 있는 정지국사탑과 비(보물)이다. 고려말 활동한 정지국사(1324 ~ 1395년)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조선초에 조성한 것으로 목조건축물 형태를 하고 있는 통일신라 이래 전통 승탑 양식을 따르고 있다. 바닥돌과 아래받침돌은 4각이고 윗받침돌과 탑몸는 8각형을 하고 있다. 받침돌에는 연꽃장식 외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몸돌에는 문짝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전통 승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데 조각수법이는 조형미는…
-
상주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
경북 상주시 서성동 왕산공원에 있는 복용동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통일신라 이후 생활유적지인 상주 복룡동 유적(사적) 마을이 있던 것을 1975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불상을 얼굴은 둥글고 풍만하면서도 인간적인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다. 어깨는 좁으며 오른손은 남아 있지 않지만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 지권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비로자나여래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투박하면서도 부드럽고 풍만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
상주 석조천인상(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과 공양하는 모습을 표현한 작품
경북 상주시 상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석조천인상 (보물)이다. 원래 상주시 남성동에 있던 것을 상주박물관으로 옮겨 전시하고 있다. 용도를 알 수 없는 화강암으로 만든 돌에 주악상과 공양상을 각각 돋을새김으로 조각해 놓고 있다. 주악상은 비파를 타고 있는 천인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으며, 공양상은 연꽃봉우리를 받쳐들고 있는 모습이다. 조각수법이 섬세하고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친다. 통일신라 중기인 8세기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당시…
-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보물), 사벌왕릉 옆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경북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절터에 있는 삼층석탑 (보물)이다. 후삼국시대 사벌국 왕릉으로 전해지는 곳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을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아래층 기단을 생략한 단층기단으로 통일신라 후기 지역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불균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붕돌 네모퉁이를 높게 치켜 올려 경쾌한 느낌을…
-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에는 작은 암자인 백운암에 있는 철조여래좌상(보물)이다. 높이 87 cm 정도의 크지 않은 철조불상으로 석굴암 본존불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불상은 8세기 통일신라 불상의 양식을 따르고 있기는 하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하지 않는등 후대인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원래 이곳에 있던 불상은 아니고 인근 사찰에서 옮겨왔다고 하는데 고려시대 큰 사찰이었던 억정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