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승탑
-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승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에 위치한 동 승탑(국보)이다.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승탑이다. 탑은 전체적으로 팔각형태를 하고 있는데, 3단의 받침돌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아래받침돌에는 용과 사자를, 가운데 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윗받침돌에는 가릉빈가(迦陵頻伽)를 새겨 놓았다. 다른 승탑과 마찬가지로 탑신 몸돌에는 탑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다. 지붕들은 당시 목조건축물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기와, 서까래…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남원 실상사에 위치한 수철화상탑(보물)이다. 이 탑은 실상사를 크게 일으킨 수철화상(秀澈和尙)의 사리를 모셔놓은 승탑이다. 아래받침돌에는 구름, 용무늬와 사자가 새겨져 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겨 장식하고 있다. 몸돌은 팔각형으로 모서리에는 기둥을 새겨 놓았다. 각 면에는 사천왕상과 문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목조건축물의 기와지붕을 섬세하게 조각해 놓고 있다. 각부분에 조각해 놓은 무늬들이 오랜 세월에 마모되기는 했지만, 조각수법이 섬세하며 전체적인 규형미도…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남원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탑(보물)이다.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洪陟)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탑은 팔각형을 기본으로 목조건축물 형태를 하고 있다. 받침돌은 팔각형 석재를 여러층 쌓아 올렸으며 연꽃모양의 장식을 하고 있다. 탑신 몸돌은 8면으로 되어 있으며, 앞,뒤쪽에 문을 새겼다. 4면에는 탑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부조로 새겨 놓고 있다. 증각(證覺)은 홍척국사의 시호이며 남한조사(南韓祖師)라고 부린다. 통일신라대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귀국하여 선종을 크게 일으켰다.…
-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옛절터에 남아 있는 굴산사지 승탑(보물)이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 진성여왕대에 활동했으며 굴산사를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범일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을 추정되고 있다. 전체적인 구조나 조각수법으로 볼 때 고려시대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승탑은 팔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사리를 모시는 몸돌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받침돌, 위에는 지붕돌과 꼭대기 장시이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 악기를 연주하는 조각상을, 윗받침돌에는…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단양군 가곡면 남한강변 향산리마을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탑은 2층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는 여러장이 큰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에 기단을 쌓았다. 3층으로 된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개의 돌로 되어 있다. 이 석탑은 머리장식이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다. 석탑의 형태는 비례가 충실하며, 조각수법도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청룡사 절터에 남아 있는 보각국사탑(국보)이다. 고려말에 활동한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정식 명칭은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이다. 탑은 8각형평면을 기본으로 하고있는데, 기단 아랫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에는 사자상과 용을 교대로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각면마다 무기를 들고 있는 탑신 몸돌에 새겨 넣은 신장상과 그 사이에 구름에 휩싸인 용을 섬세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새겨 놓고 있다. 승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