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순천 선암사 동승탑(보물)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동승탑(보물)이다. 선암사 뒷편으로 언덕에 세워져 있다. 높이 3.16 m로 선암사 승탑 중 가장 크다. 탑은 8각형 평면의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졌으며, 윗면에 괴임돌이 새겨져 있다. 가운데받침돌과 윗받침돌은 하나의 돌로 되어 있는데 가운데받침돌에는 물결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이 큼직하게 새겨졌으며, 그…
-
순천 선암사 북승탑(보물)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에 있는 북승탑(보물)이다. 선암사 뒷편으로 언덕에 세워져 있다. 높이 2.5 m이며, 8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에는 사자상과 구름무늬가, 가운데 받침돌에는 안상이,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이 큼직하게 새겨졌다. 탑신 몸돌에는 앞.뒤로 문짝을, 주위에는 4면에 신장상을 새겼다. 지붕돌은 두껍게 투박하게 만들었으며, 모퉁이에 귀꽃을 장식했다. 머리장식은 온전히…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보물), 가장 오래된 목조사천왕상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천왕문에 있는 목조사천왕상(보물)이다. 조선중기 중종 때(1515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현존하는 목조사천왕상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사찰 출입문인 천왕문 안에 모셔져 사찰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오른쪽에는 북방 다문천왕과 동방 증장천왕을, 왼쪽에는 남방 증장천왕과 서방광목천왕이 배치되어 있다. 조선시대 사천왕상은 중국식 갑옷을 입고 각기 다른 상징물을 들고 악귀를 밟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데, 그…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보물)
충남 서산시 운산면 보원사지(사적) 절터에 있는 법인국사탑비(보물)이다. 고려초 승려 법인국사 탄문(坦文, 900∼975)의 행적과 업적을 적은 탑비이다. 높이 4.5 m이 비교적 큰 규모의 비석으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과 머릿돌을 올렸다. 크고 웅장하게 만들었으나 조형미나 조각수법이 뛰어나거나 독창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고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비문은 김정언이 짓고 한윤이 썼다. 글씨는 구양순체로 필력과 짜임새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법인국사는…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일부 반영된 승탑
충남 서산시 운산면 보원사지(사적) 절터에 있는 법인국사탑(보물)이다. 고려초 승려 법인국사 탄문(坦文, 900∼975)의 사리를 모신 높이 4.7m의 승탑이다. 8각형평면을 기본으로 받침돌, 몸돌, 지붕돌로 구성된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래받침돌은 8각형으로 된 2개의 돌로 쌓았는데 아랫돌에는 사자를, 윗돌에는 용을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 받침돌엔 특별한 장식이 없으며, 윗받침돌에는 난간을 조각해 놓았다. 탑신 몸돌은 앞뒷면에 문짝과 사천왕상과 인물상을…
-
경주 불국사 사리탑(보물), 불상이 새겨진 독특한 형태의 사리탑
경북 경주시 불국사 비로전 앞에 있는 사리탑(보물)이다. 외형상 승탑처럼 생기는 했지만, 여래의 사리탑인지 승탑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탑신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받침돌이 있고 위에는 머리장식이 얹었다. 아래받침돌과 위받침돌에는 연꽃무늬가 큼지막하게 새겨졌으며 그 사이에 장고모양의 가운데받침돌이 있다. 볼록한 원통모양의 몸돌에는 4면에 감실을 파서 여래상과 보살상을 조각해 놓았으며 4곳에 꽃모양의 기둥을 새겼다. 지붕돌은 경사가 완만하며 머리장식은 일부반 남아…
-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석등(보물), 2마리의 사자가 생동감있게 표현된 석등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중인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보물)이다. 여주 고달사 절터에 있던 것을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다시 옮겨졋다. 높이 2.4 m로 석등으로 불을 밝히는 화사석까지만 남아 있었는데, 고달사지 절터 발굴조사 과정에서 지붕돌이 발견되어 현재의 모습을 찾게 되었다. 안상이 새겨진 직사각형의 바닥돌 위에 2마리의 웅크린 사자가 석등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가운데와 윗받침돌에는 연꽃과 구름문양을 새겨 놓고…
-
장흥 보림사 서승탑(보물), 고려중기에 만들어진 정형화된 모습의 승탑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에서 서북쪽으로 1 km 정도 떨어져 있는 언덕에 있는 2기의 승탑(보물)이다. 승탑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탑비도 없다. 앞쪽에 있는 탑의 높이는 3.6 m이며, 3단의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양식을 하고 있다. 기단부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큼직학게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을 하고 있으며 모서리에 구슬을 꿴 모양을 기둥을 조각해 놓았다.…
-
장흥 보림사 동승탑(보물),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모습을 모여주는 승탑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동쪽 언덕에 있는 승탑(보물)이다. 승탑의 주인이 누구인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탑비도 없다. 탑의 높이는 3.6 m이며, 3단의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양식을 하고 있다. 기단부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큼직학게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을 하고 있으며 특별한 장식은 없다. 몸돌에는 앞뒤에 문짝을 새기고 그 위에 꽃으로 장식하고 있다. 지붕돌은 좁고 낮은편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