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조선후기
-
여수 진남관(국보), 전라좌수영 객사
전남 여수시 군자동에 있는 진남관(국보)이다. 여수에 있었던 옛 전라좌수영 객사 건물로 현존하는 단층 목조건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건물 규모는 앞면 15칸, 옆면 5칸으로 전체 면적은 240평 정도이다. 잘 다음은 돌로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민흘림 기둥읠 세웠는데 총 68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주심포와 다포계 양식을 절충한 것처럼 보인다. 일반적인…
-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이다. 사찰 주불전인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상으로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을 협시보살로 두고 있다. 17세기에 조성된 목조불상으로 조각수법이 뛰어나고 양감이 잘 표현되어 있다. 조선후기 불상 중 드물게 보살상을 협시로 두고 있으며, 조각수법이나 양식 등에서도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불상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흥국사 대웅전에 모셔진 석가여래삼존상(보물)> 조선후기 불상 중 드물게 협시보살을 두고…
-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 대웅전에 모셔진 후불탱이다.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영산회상도로 대웅전 석가삼존불의배경으로 걸려 있다. 그림은 비단바탕에 채색하여 그려졌는데 가로 4.2 m, 세로 5.07 m 이다. 채색은 붉은색과 녹색으로 이루어 졌으며, 꽃무늬나 옷주름 등에 금색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후기 17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흥국사 대웅전 석가삼존불 뒷편에 걸려 있는 후불탱(보물)> 흥국사…
-
여수 흥국사 홍교(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에 있는 홍교(보물)이다. 영취산 흥국사 입구 계곡에 놓여진 아치형 돌다리인 홍교로 아치의 높이가 가장 가장 높고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이후인 인조 17년(1639) 흥국사를 중건할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중 사찰 입구 계곡에 홍교를 세운것은 바깥세상과는 공간을 분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계곡 양쪽 바위에 기대어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
순천 낙안읍성 주막집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대리 낙안읍성 남문 안쪽에 위치한 주막집이다. 성문을 들어서면 첫번째로 볼 수 있는 작은 초가집이다. 성벽 안쪽 좁은 공간을 활용하여 지은 집으로 방2개, 점포, 부엌으로 구성된 ‘田’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읍성을 드나드는 사람들을 상대로 장사를 하기 위해 지은 작은 점포로 18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방 앞에는 툇마루를 두어 오가는 사람들이 잠시 앉아…
-
순천 낙안읍성 대나무 서까래집.
전남 순천시 낙안면 서내리 낙안읍성 내에 있는 대나무 서까래집이다. 낙안읍성 서문 바로 안쪽 큰 길에 있는 집이다. 안채는 부엌 1칸, 방 2칸의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자형 초가집이다. 작은방 옆에는 돌담을 쌓아 헛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쪽에는 후대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작은 사랑채가 있다. 아마도 관아에 소속되어 일했던 사람이 살았던 가옥으로 보인다. <낙안읍성 대나무 서까래집> 서문 안쪽에…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전남 순천시 낙안면 서내리 낙안읍성 안에 있는 마루방집이다. 낙안읍성 내 동.서를 연결하는 큰 길 옆에 있는 초가로 지은 가옥이다. 마당이 비교적 넓은 집으로 안쪽에 ‘-‘자형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부엌.안방.마루.작은방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부엌에는 조왕신을 모시던 자리가 남아 있다. 초가집이지만 비교적 큰 규모의 가옥으로 관아에 근무했던 아전 또는 향리가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집이다. <낙안읍성 마루방집>…
-
보성 벌교 홍교(보물), 큰 규모의 조선시대 홍예교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에 남아 있는 벌교 홍교(보물)이다. 잘다듬은 석재로 아치모양으로 쌓은 홍예교이다 규모는 폭 4 m, 길이 80 m로 현재 남아 있는 홍예교 중 가장 큰 규모이다. 현재는 길이 약 27 m 정도로 높이 3 m의 홍예 3개가 남아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최근 옛모습을 복원해 놓고 있다. 홍예 밑 천장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돌출되어…
-
순천 송광사 약사전(보물), 앞면 1칸 규모 작은 불전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에 있는 약사전(보물)이다. 앞면과 옆면이 각 1칸씩으로 현존하는 불전 중 가장 작은 규모로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형태 등으로 볼 때 17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 한쪽편에 영산전과 함께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송광사 약사전(보물)>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