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돌다리

  • 여수 흥국사 홍교(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에 있는 홍교(보물)이다. 영취산 흥국사 입구 계곡에 놓여진 아치형 돌다리인 홍교로 아치의 높이가 가장 가장 높고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이후인 인조 17년(1639) 흥국사를 중건할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중 사찰 입구 계곡에 홍교를 세운것은 바깥세상과는 공간을 분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계곡 양쪽 바위에 기대어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 보성 벌교 홍교(보물), 큰 규모의 조선시대 홍예교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에 남아 있는 벌교 홍교(보물)이다. 잘다듬은 석재로 아치모양으로 쌓은 홍예교이다 규모는 폭 4 m, 길이 80 m로 현재 남아 있는 홍예교 중 가장 큰 규모이다. 현재는 길이 약 27 m 정도로 높이 3 m의 홍예 3개가 남아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최근 옛모습을 복원해 놓고 있다. 홍예 밑 천장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돌출되어…

  • 순천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이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는 돌다리로 송광사에서도 경치가 가장 아름다운 장소로 손꼽힌다. 삼청교는 잘다듬은 돌을 쌓아 홍예를 만든 돌다리로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규모가 웅장하거나 건축수법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사찰 앞을 흐르는 작은 개울과 전각인 임경당, 사자루와 어우러져 하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삼청교 위에 있는 작은 통로 건물인 우화각이…

  • 고성 건봉사 능파교(보물)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건봉사 입구에 있는 능파교(보물)이다. 건봉사 경내 개천을 건너는 아치형 돌다리인 홍예교이다. 건봉사 불이문 옆 능파교신창기비에 적혀 있는 기록에 의하면 숙종 30년인 1707년 경에 지어졌다.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수차례에 걸쳐서 파손되어 중수가 이루어졌다. 2005년 10월에 복원된 것으로 너무 깨끗하게 복원되어 원래의 다리가 아닌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폭 3m에, 길이 14.3m이고 홍예…

  • 고성 육송정 홍교(보물), 건봉사 가는길에 있는 아치형 돌다리.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에 위치한 육송정 홍교(보물)이다. 홍예교(虹霓橋)라고도 부르는 아치형으로 쌓은 조선시대 돌다리이다. 고성군 간성읍 해상리와 탑현리 경계에 위치한 이 다리는강릉 이북 동해안 일대에서 가장 큰 고을이었던 간성군 관아에서 조선 4대 사찰이었던 금강산 건봉사로 들어가는 길에 세워졌다. 다리를 건립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비슷한 형태인 건봉사 홍파교와 비슷한 시기인 숙종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육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