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탕평책
-
[중앙박물관특별전, 탕탕평평] 왕도를 바로 세워 당평을 이루다.
조선시대의 왕위 정통성은 유교적 이념, 특히 성리학에 기반하여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습니다. 왕위 계승은 단순한 권력의 이동이 아니라, 천명天命과 예법禮法, 혈통에 의해 정당화되어야 했다. 영조는 왕의 종친(형제)으로 왕위를 계승받아 정통성에 결함이 있었으며, 정조는 사도세자 문제로 정통성에 도전을 받았다. 반면에 장자 계승을 충실히 따른 숙종은 조선시대 국왕 중 최고의 권위를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여러차례 실시한 세력교체에도 그…
-
[중앙박물관특별전, 탕탕평평] 탕평을 이루다
영.정조대를 대표하는 정책으로는 탕평책으로 대변되는 당쟁의 극복과 왕권의 확립, 균역법으로 대표되는 조세개혁을 통한 경제 안정화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정조대는 규장각을 중심으로 활성화된 학문장려, 중국 문물도입과 함께 크게 융성한 실학, 대량 출판을 통한 지식의 확산 등이 있다. 영조 때의 인사 정책은 탕평책蕩平策이 핵심이다. 영조는 극심한 당쟁으로 인해 혼란스러웠던 정국을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당파를 초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