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향교
-
밀양 밀양향교, 밀양도호부 교육기관
경남 밀양시 교통에 있는 밀양향교이다. 밀양도호부에서 운영했던 공립 교육기관으로 고려시대 1100년 경에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현재의 밀양향교는 임진왜란 직후 1602년 부사 최기가 중건하였다. 주요 건물로는 대성전, 동무·서무, 내삼문, 명륜당, 동재·서재, 풍화루 등이 있다. 경사진 지형에 전학후묘前學後廟 이축선 병렬형으로 건물들이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향공간과 강학공간이 일직선상에 놓어 있지는 않지만, 각각의 축에 따라 건물들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다.…
-
밀양 밀양향교 대성전(보물)
경남 밀양시 교동에 있는 <밀양향교 대성전>(보물)이다. 앞면 3칸, 옆면 2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전형적인 조선중기 향교 대성전 양식을 하고 있다. 현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2년에 중건하였으며 1820년에 다시 고쳐지었다. 건물을 다시 고쳐지을 때 옛 건물의 기둥, 익공, 창호 등을 재사용하여 옛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대성전大成殿은 향공간의 중심 건물로, 공자와 유교의 사성四聖,…
-
밀양 밀양향교 명륜당(보물)
경남 밀양시 교동에 있는 <밀양향교 명륜당>(보물)이다. 향교 강학공간 중심 건물로 1681년에 중건된 것이다. 건물 앞면 5칸, 옆면 2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17세기 익공계 공포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로,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건물의 규모나 형태에 있어 전형적인 향교나 서원의 강당 건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밀양향교 강학공간은 명륜당을 중심으로…
-
김해 김해향교, 김해도호부 중등 교육기관
경남 김해시 대성동에 있는 김해향교이다. 조선시대 김해도호부에서 설치하여 운영했던 중등교유기관으로 김해읍성 북문에서 2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초 대종 때 처음 세워졌으며 전란과 화재 등으로 조선후기 숙종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김해도호부는 비교적 큰 규모의 고을로 낙동강 뱃길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읍성을 쌓았으며 뒷편에 산성인 분산성을 두고 있다. <김해 향교> 김해향교는 강학공간인…
-
철원 철원향교, 조선시대 철원도호부 중등교육기관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에 있는 철원향교이다. 옛 철원도호부 중등교육기관으로 고려초에 처음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조선중기 선조 때(1568년)에 중건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인조 때(1637년) 유림들이 중건하였다. 해방이후까지 철원읍 월하리에 있었으며 고아원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다. 이후 철원읍 화지리로 옮겨 다시 지었으며 2010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철원은 조선시대 도호부가 설치되었던 고을로 그 규모에 걸맞게 비교적 큰 규모였던…
-
산청 단성향교, 조선시대 단성현 중등 교육기관
경남 산청군 단성면 누강리에 있는 단성향교이다. 옛 단성현 중등교육기관으로 고려전기 인종 때 처음 창건되었다. 조선초 세종 때 강누리 인근으로 옮겨졌다가 조선후기 영조 때 현위치로 옮겨졌다. 후학을 양성하는 교육기능보다는 공자와 선현에 제사를 올리는 제향기능 위주로 운영되었던 지방의 작은 향교이다. 단성향교에는 <단성현 호적장부>를 보관하고 있었는데 조선후기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산청 단성향교> 경사진 지형에 건물이 세워져 있는…
-
경주 경주향교, 통일신라 국학이 있던 자리
경북 경주시 교동에 있는 경주향교이다. 통일신라 신문왕 때(682) 최고 교육기관인 국학을 세웠던 곳이다. 경주향교의 창건시기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고려시대 향교가 세워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향교는 조선 성종 때(1492)에 성균관을 본 떠서 다시 지었다.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중건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성전이 있는 제향공간을 앞쪽에, 명륜당이 있는 강학공간을 뒤에 배치한 전묘후학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
경주향교 동무, 서무, 신삼문(보물)
경북 경주시 교동에 있는 경주향교 동무, 서무, 신삼문(보물)이다. 향교 제향공간을 구성하는 주요 건축물들로 1604년 중건된 이래 여러차례 보수를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서무는 앞면 12칸 규모의 건물로 향교 동,서무 건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각각 4곳에 출입문을 두고 있으며 나머지는 흰색 벽면을 하고 있다. 신삼문은 제향공간 출입문으로 앞면 3칸을 하고 있는 평삼문으로 향교 삼문의 모범이…
-
상주 상주향교, 상주목 관아에서 설치.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경북 상주시 신봉동에 있는 옛 상주목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인 상주향교이다. 상주향교가 언제 처츰 세워졌는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선초 감영이 설치되었던 상주목의 고을 규모나 위상 등을 고려해 볼 때 향교가 처음 세워졌던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상주향교 건물들은 조선초 세종 때 처음 지어진 후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중수하였으며 그후 여러차례 중.보수가 계속되어 오다가 196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