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공립중등교육기관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장성도호부 공립교육기관인 장성향교다. 읍소재지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장성읍 소재지가 일제강점기에 기차역과 가까운 곳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향교는 강학공간을 앞쪽에, 제향공간을 뒷쪽에 둔 전학후모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읍치 반경 수km 안에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필암서원을 비롯하여 봉암서원 등이 있었기 때문에 조선후기에는 교육기관 역할을 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이다.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으며, 휴식공간으로 사용하는 문루를 두고 있지 않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것으로 교육기관 기능이 약화된 조선후기 향교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외삼문>

향교 강학공간

장성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의 제사를 올리는 제향기능만이 남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향교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향교의 규모는 비교적 큰 편이다. 건물은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뒷편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일렬로 배치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명륜당은 앞면 6칸, 옆면 2칸의 큰 건물이며, 사당이 있는 뒷쪽으로 공간이 열려 있다. 명륜당과 대성전 사이 마당 양쪽에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가 배치되어 있다.

<강학공간의 중심건물인 명륜당>

앞면 6칸의 큰 건물이다. 가운데 대청마루에 차창문이 달려있기는 하지만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향하고 있다.

<강학공간 마당에서 본 명륜당>

<명륜당 대청마루>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

<맞은편 서재>

<강학공간 마당>

제향공간

대성전은 앞면 3칸의 전형적이 사당 건물의 형태를 하고 있다. 대성전 앞 마당 양쪽에는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동.서무를 두고 있다. 장성읍치 주변에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서원들이 있어 실제 교육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건물의 규모가 크고 잘 갖추어진 향교이다.

<제향공간 출입문인 내삼문>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석재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판문을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제사준비를 하는 공간인 기둥이 있는 툇간을 두고 있지 않다.

<동무>

<서무>

장성향교,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
향교는 유학을 교육하기 위하여 지방에 설립한 국가교육기관이다. 장성향교는 태조3년(1394)에 북이면 오산리에 창립하였으나, 선조 33년(1600)에 진원향교와 통합하여 장성읍 장자동으로 옮겼다. 그 후 효종9년(1658)에 효종의 군비확장책으로 입암산성이 설치되면서 장성현이 도호부로 승격됨에 따라 지금의 위치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대성전, 동.서무, 내삼문, 명륜당, 외삼문, 홍살문, 고직사 등이 남아 있으며, 외삼문 밖으로 약300m되는 거리에 하마미가 있고, 약 12m되는 곳에 홍살문, 외삼문, 명륜당, 동.서재, 내삼문, 동.서무, 대성전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학문을 하는 공간이 앞에 있고 제사를 모시는 공간이 뒤에 있는 전학후묘의 구조이다. <출처:문화재청>

조선시대 장성읍 지역에는 장성현이 있었고 남쪽에 진원현있었는데 임진왜란으로 지역이 피폐해져 2개의 현을 합쳤으며, 장성향교와 진원향교가 합쳐졌다. 병자호란 이후 도호부로 승격되면서 읍치를 입압산성에서 가까운 성산으로 옮겼길 때 장성향교도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장성도호부 관아는 향교에서 800여m 떨어진 성산초등하교 부근에 있었다.

<명륜당 오른쪽에 위치한 고직사>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