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카는 큰 불전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대웅보전(보물)이다. 경주 황룡사 금당을 연상시키는 이 건물은 우리나라 불전 중 손꼽을 정도로 큰 규모로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함께 우리나라 3대 불전으로 불린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인조 때(1624년) 새로 지은 것으로 건축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위치로 옮겨온 것으로 보인다.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건물은 앞면 7칸 규모의 2층 건물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불전 앞 돌계단은 국왕이 사용하는 계단인 답도처럼 가운데에 소맷돌이 있다. 내부에는 소조불좌상으로는 가장 큰 규모인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법주사 주불전인 대웅보전(보물)>.

<오른쪽에서 본 모습>

<왼쪽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

앞면 7칸의 2층 건물로 궁궐 정전을 연상시키는 상당히 큰 규모의 건물이다. 내부은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이 모셔져 있다.

<계단>

궁궐 정전 월대를 오르는 계단인 답도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법주사가 조선왕실(특히, 세조)와 관련된 사찰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계단 위에 있는 원숭이 조각상>

<창호와 기둥, 주련>

<대웅보전 현판>

<공포와 처마>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하고 있다.

<대웅보전 내부>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보물)을 모시고 있다. 가운데 비로자나불, 왼쪽에 아미타여래, 오른쪽에 석가여래가 있다.

<대웅전 앞에서 본 법주사 경내>

마당이 상당히 넓어 보인다. 대웅보전 앞 사천왕 석등은 원래 팔상전 서쪽에 있던 것을 옮겼다고 한다. 삼국시대 1탑 1금당식 가람배치였으며, 쌍사자석등이 있는 곳에 금당이 있었으며, 지금의 대웅보전 자리에는 강당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8년 모습>

법주사(法住寺)는 삼국시대 진흥왕 때 (553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혜공왕 때(776년) 승려 진표가 크게 중창함으로써 미륵신앙의 중심 사찰이 되었다. 오늘날 금동미륵대불이 있는 곳에는 오랫동안 금동대불이 자리하고 있었으며, 대웅전에서는 옛 금당인 장륙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통일신라까지 신앙의 중심이었던 목탑도 유일하게 남아 있다.

<속리산 법주사(사적)>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보물,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의신조사가 처음 건립하여 혜공왕 12년(776) 진표율사가 고쳐지었으나 임진왜란시 불타 버린후 인조 2년(1624)에 벽암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면적이 402.80㎡, 높이가 약 19m에 이르는 대규모 건물로서 무량사 극락전, 화엄사 각황전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불전의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이 건물과 같은 수법의 건물로 금산사 미륵전이 있다. 내부에는 높이 5.5m, 허리둘레 3.9m에 이르는 국내 소조불 좌상으로 가장 크다고 알려진 보물 1360호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이 안치되어 있다. <출처: 문화재청>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