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핑매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신리 지석묘군(사적) 중 핑매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고인돌 중 보검재 고개를 지나 핑매바위까지 주변에 흩어져 있는 133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핑매바위는 길이 7 m, 높이 4 m의 거대한 고인돌로 오래세원 이 고갯길의 이정표가 되어왔다. 주변에는 많은 고인돌들이 흩어져 있으며 뒷편에는 돌을 채취했던 채석장이 보인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모산마을에서 보검재(해발 188.5 m)를 넘어 춘양면 대산리로 연결되는 약 5 km의 고갯길 주면에 흩어져 있는 596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고창 고인돌 및 강화 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핑매바위고인돌군>

핑매바위 고인돌군은 보검재 고개를 넘어서 이정표가 되었던 핑매바위가 서 있는 곳까지 흩어져 있는 133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주로 도로 위쪽에 분포하고 있으며, 아래쪽에도 여러기의 고인돌이 흩어져 있다.

<핑매바위>

나주와 보성을 연결하는 보검재 고갯길에서 이정표가 되었던 핑매바위이다. 높이 4 m의 거대한 덮개돌이다. 자연석이 아니라 다듬은 흔적이 많이 남아 있으며 아래에는 덮개돌을 받쳤던 받침돌들이 보인다.

<바위에 새겨진 글자>

여흥민씨 재실이 있음을 표시한 글자가 새겨져 있다.

팽매바위 고인돌은 돌을 던진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며, 길이 7 m, 높이 4 m, 무게 200톤이 넘는 초대형 덮개돌로 세게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고인돌이다. 덮개돌의 아랫면은 다듬은 흔적이 뚜렷하고 받침돌이 고이고 있어 덮개돌 아래에 일정한 공간이 있다. 이 고인돌에는 마고할머니와 관련된 전설과 옛 장수가 묻혔다는 장군바위 전설 등 많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특히 고인돌 위 구멍에 왼손으로 돌을 던져 들어가면 시잡가고 장가간다는 전설이 전해오기도 한다. 핑매바위 주변에는 지동마을에서 보검재로 올라가는 산비탈을 따라 133기의 고인돌이 나란히 서 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고개너머 도로 아래에 흩어져 있는 고인돌>

<도로 옆에 있는 고인돌>

<아래쪽에 있는 고인돌>

<핑매바위 윗쪽에 모여있는 고인돌>

<옆쪽 모여 있는 고인돌>

<비교적 큰 규모의 바둑판식 고인돌>

<도로 옆에 보이는 작은 규모의 고인돌>

<핑매바위 뒷편으로 보이는 채석장 주변>

<핑매바위 앞 도로>

<핑매바위 부근에 있는 비교적 큰 규모의 고인돌>

<핑매바위 앞 도로 아래에 있는 고인돌군>

<크고 작은 고인돌들>

<상당히 큰 규모의 고인돌>

<옆쪽 핑매바위보다 약간 작은 규모의 고인돌들>

<아래에서 본 핑매바위 주변>

화순 효산리 및 대산리 지석묘군, 사적
화순고인돌 유적은 2000년 12월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화순고인돌이 전 인류를 위하여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탁월한 문화유산임을 널리 인정받은 것이다. 화순고인돌은 남쪽 산기슭을 따라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산리를 잇는 보검재(일명 보성재, 해발 188.5 m) 계곡 일대 약 5 km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특징은 좁은 지역 내에 고인돌 여러 개가 한 곳에 모여 있으며 당시의 자연환경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또한 고인돌 덮개돌 채석장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어 돌을 캐는 것과 캔 돌을 쌓아 고인돌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유적은 국가 사적 제 410호로 지정되었고, 거점 지역별로 괴바위 고인돌군(47기), 관청바위 고인돌군(190기), 달바위고인돌군(40기), 핑매바위 고인돌군(133기), 감태바위 고인돌굴(140기), 대산리 발굴지(46기) 등에 596기의 고인돌이 빽빽히 분포해 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화순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