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보물)
전북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 절터 입구에 세워져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미륵사지 절터 2기의 석탑 앞쪽에 하나씩 세워져 있다. 백제 무왕이 미륵사를 건설할 당시부터 있던 것은 아니고 통일신라 중기 이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당간지주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바깥쪽에 띠를 새겨두고 기단부에 안상 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장식이 많지 않으며 단정하고 세련된 느낌을 준다. 영주 부석사나 숙수사지(소수서원)에…
-
익산 미륵사지(사적), 백제 무왕이 세운 백제 최대 규모의 사찰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미륵사지(사적)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 창건한 백제 최대이자 신라 황룡사와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대형 사찰이다. 석탑 수리과정에서 출토된 사리봉영기에 따르면 백제 왕후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지금은 석탑(국보)만 남아 있는데 석재를 이용하여 목탑 형태를 구현해 놓다. 현존하는 석탑 중 가장 크고 오래된 것이다.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그…
-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 확인되는 궁궐터
전북 익산시 왕궁면과 금마면에 있는 왕궁리 유적(사적)이다. 오층석탑이 남아 있던 이곳은 마한의 도읍지설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으나 발굴.조사 결과 백제후기에서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 확인되는 중요한 유적이다. 유적은 백제 무왕 때 조성은 궁성 영역과 백제말 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사찰영역이 혼재되어 있다. 궁성은 치밀한 계획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영향을…
-
익산 제석사지(사적), 왕궁리 궁성을 수호하기 위해 세운 사찰 절터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제석사지(사적) 절터이다. 제석사는 백제 왕실의 번창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한 왕실 사찰로 왕궁리유적에서 동쪽으로 1.5 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 무왕이 이곳 왕궁리로 궁성에 세우면서 불교의 수호신인 제석천을 모시기 위해 세웠다. 제석사에 대한 기록은 백제 무왕 때 천도한 기록과 낙뢰로 인한 화재 기록이 있다. ‘제석사’라고 적힌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에 옛 절터임이…
-
익산 토성(사적), 백제 무왕이 왕궁리 궁성과 함께 세웠던 산성
전북 익산시 금마면 오금산에 있는 익산 토성(사적)이다. 해발 100 m 정도인 오금산 정상과 남쪽 계곡에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오금산성 또는 보덕성이라 불렀다. 7세기 초 백제 무왕이 익산 왕궁리에 궁성을 조성할 때 같이 쌓은 것으로 보인다. 산성은 둘레 690 m로 넓지 않은편이다. 원래 백제식 토성으로 쌓았다가 이후에 석축을 보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있었는데 백제…
-
익산 쌍릉(사적),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능으로 추정되는 곳
전북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쌍릉(사적)이다. 2기의 무덤이 남북으로 나란히 자리잡고 있어 쌍릉이라고 부른다. 쌍릉은 능산리고분군과 같은 굴식돌방무덤으로 남쪽에 있는 것을 소왕묘, 북쪽의 것을 대왕묘라 부른다. 일제강점기 이전에 도굴되어 나무로 만든 목관 외에는 유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복원된 목관의 형태나 관못, 꾸미개 등은 능산리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거의 비슷하다. 무덤의 구조나 출토 유물, 주위에 있는 미륵사지나…
-
전라도 여산도호부 관아, 여산 동헌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옛 여산도호부 관아 건물터이다. 다른 지방의 옛 관아터와 마찬가지로 시골마을 면소재지에 자리하고 있다. 관아건물 중에는 고을 수령이 근무하던 동헌 건물과 수령이 수백년이 지난 느티나무들이 이곳에 관아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헌건물은 계단식으로 조성된 건물터에 자리잡고 있는데 구한말에 중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헌 옆에는 객사가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에 초등학교 건물이 들어서 있다.…
-
공주 장선리 유적(사적), 삼한시대 마한의 주거유적이 확인된 곳
충남 공주시 탄천면 장선리에 장선리유적지(사적)이다. 이곳에서는 청동기시대 생활유적과 무덤, 마한의 생활유적 및 조선시대 유적이 발굴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언덕 위 평탄한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가운데 구덩이와 주변의 기둥 구멍이 배치되어 있다. 인근 부여 송국리 유적지와 거의 비슷한 형태이다. 원삼국시대의 주거지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흙을 파서 만든 큰 구덩이 형태를 하고 있는데 이는 중국 사서『삼국지』표현된 마한사람들의 생활모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