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중국

  • 중국 둔황(敦煌), 서역으로 출발하는 실크로드 도시

    중국 간쑤성(甘肃省) 둔황(敦煌)은 간쑤성, 청해성(青海省), 신장 위구르자치구가 만나는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는 인구 19만의 지방소도시이다. 고대 실크로드에서 중국 밖(外地)으로 떠나는 출발지이자, 시안(長安)에서 옥문관까지 이어지는 길이 900 km 하서주랑(河西走廊) 서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기원전 111년 한무제가 실크로드를 개척하면서 둔황현(敦煌縣)을 설치하였으며 명나라 때 해상교역로가 활성화되기 전까지 실크로드 관문도시로서 물자와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다. 지금은 철도를 비롯한 주요 교통로에서 소외되어…

  • 중국 투루판(吐鲁番), 실크로드를 대표하는 도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투루판시(吐鲁番市)이다. 타틀라마칸 사막과 천산산맥 사이에 있는  투루판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동서교역로였던 실크로도 북도에서 가장 큰 도시였으며, 북쪽 만년설이 쌓여 있는 천산산맥 흐르는 풍부한 수량에 의존해 살고 있다. 전한(前漢) 이후 차사전국(車師前國)이 자호허고성(交河故城)에, 당대에는 고창국(高昌國)이 가오창고성에 자리 잡았다. 당대 이후에는 위구르족이 터를 잡고 살아오고 있다. 투루판분지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고 여름에는 매우 더운…

  • 중국 우루무치(乌鲁木齐),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중심도시인 우루무치(乌鲁木齐, Ürümqi)이다. 중국 서부지역을 남북으로 가르는 천산산맥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업과 교통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고대 이래 동서교역로인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으로 문화적으로 중앙아시아 국가의 도시와 비슷하다. 인구는 350만 정로 한족(75%), 위구르족(13%), 후이족(8%)이 주를 이루며 카자흐족, 만주족, 몽골족, 우주벡족 등 다양한 소수민족들이 모여살고 있다. 바다에서 2,300 km 이상…

  • 우루무치 남산목장(南山牧场), 천산산맥 유명 피서지

    중국 신강 우루무치(乌鲁木齐)에 있는 남산목장(南山牧场)이다. 우루무치 도심에서 남쪽으로 75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남산목장은 천산산맥 라우청봉(喀拉乌成峰) 쪽 기슭에서 산중턱에서 고산지대로 바뀌는 지역을 말하며 해발 고도 2,100 m 이상이다. 울창한 수목, 산지초원, 계곡, 목초지 등 다양한 자연경관을 보여주고 있으며 청나라 때부터 유명한 피서지였다고 한다. 명소로는 서백양구(西白杨沟), 국화대(菊花台), 수서구조벽산(水西沟照壁山), 먀오에르구(庙尔沟) 등이 있다. <고산지대에 조성해 놓은…

  • 우루무치 천산 천지(天山 天池), 천산산맥을 대표하는 풍경

    중국 신강 푸강시(阜康市)에 있는 천산 천지(天山 天池)이다. 신강 위구르 자치구 중심인 우루무치 일대에서 제일 유명한 명소로 세계자연유산, 국가AAAAA급 관광명소, 국가지질공원, 국가주요명승지 등 다양한 타이틀이 붙어 있는 곳이다. 천산산맥 보거다봉(博格达峰. 해발 5445 m) 북쪽에 위치한 천연호수로 울창한 숲, 눈덮힌 산과 빙하, 고산호수가 빼어난 경치를 만들고 있다. 호수는 해발 1,910 m의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북으로 3.5…

  • 우루무치 철와사(鐵瓦寺), 천산산맥 천지(天池)에 있는 도교사원

    중국 신강 푸강시(阜康市) 천지경광지구에 있는 도교사원인 철와사(鐵瓦寺)이다. 천산산맥 북쪽 중턱 해발 1990 m 천지(天池)호수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실크로르에 있는 천산산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신성시되었던 장소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몽골의 서역 원정 때 협조했단 지역 유력가 처음 세워졌다고 한다. 원래 복수사(福寿寺)라 불렸는데 청나라 때 청자벽돌과 철와를 사용하여 수리하면서 철와사리 불리게 되었다. 중국 문화혁명…

  • 투루판 자오허고성(交河故城), 사막에 남아 있는 고대도시 유적

    중국 투루판시에 남아 있는 고대도시 유적인 자오허교성(交河故城)이다. 투루판 도심 서쪽 10 km 떨어진 야르나즈 계곡 무르투강에 있는 작은 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자로 교하(交河)라 부른다. 전한때부터 450년 고창국에 멸망하기까지 투루판 지역을 통치했던 차사전국(車師前國)의 수도였으며, 당나라 때에는 안서도호부가 설치되었다. 당나라 때 기록에 따르면 인구는 7,000명 정도였다고 한다.  840년 키르키즈에 멸망될 때까지 실크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3세기 몽골의 침입…

  • 투루판 자오허고성 대불사(大佛寺) 절터

    중국 투루판시 자오허교성(交河故城)에 남아 있는 대불사(大佛寺) 절터이다. 후한부터 남북조시대까지 투루판 지역을 통치했던 차사전국의 수도 교하고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대불사는 면적 5,100 ㎡이며 이 도시에서 가장 큰 규모의 사찰이었다. 절터에는 불상을 모셨던 불단이 있는 큰 규모의 금당터를 비롯하여 2개의 탑과 우물, 요사채 등이 있었으며 중문 앞 광장에 큰 규모의 탑이 남아 있다. 자오허고성은 투루판 북쪽에서…

  • 투루판 카레즈(Karez), 사막에 물을 공급하는 관개시스템

    투루판 지역 사람들의 역사와 삶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인 카레즈(Karez)이다. 카레즈는 건조한 지역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개발한 관개시스템으로 페르지아 지역에서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프카니스탄의 ‘카레즈’, 이란의 ‘카나트’, 북아프리카의 ‘호가라’ 등이 있다. 카레즈는 운하처럼 수로를 파는 것이 아니라 지하 수m~수십m에 터널을 파서 관개수로를 만든다. 카레즈시스템은 우물,  지하수로, 표면수로, 지하저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가 5천km에 이르며 1,110여개의 카레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