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고려의 공예문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해저선 유물에서 살펴볼 수 있는 차,향,꽃과 관련된 문화는 고려시대 상류층 문화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의 영향을 받아 본격적으로 유교질서의 기본 중 하나인  예약(禮樂) 제도가 받아들여져 제도화되었으며 중국 고대의 청동 예기들이 제기로서 자리잡게 된다. 또한 선종 불교의…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차, 꽃꽂이, 향은 지금도 일본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분야이다. 중국과 교류가 활발했던 당나나라 때부터 선종 불교와 함께 일본 상류층에 큰 영향을 주었던 부분으로 가마쿠라 막부의 고위 인사, 상급 무사, 선종 사찰과 상류 귀족층에 크게 유행하였다. 신안해저선에서는 이와 관련된…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신안해저선에는도자기가 가장 많고 금속기를 비롯하여 당시 일본 상류층에서 선호했던 다양한 중국산 물품들이 실려 있었다. 이들 중에는 식생활에 사용되었던 용기들이 많지만, 향로 등 향과 관련된 용기, 차문화를 보여주는 찻잔, 주전자 등의 그릇과 화병 등 꽃꽂이와 관련된 용기들도 상당수…

  •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전시개요

    1.전시개요, 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 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4.고려의 공예문화, 5.차.향.꽃 문화, 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 7.용천요 청자, 8.도자기, 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 10.금속으로 만든 물품, 11.향신료, 기타, 12.선상생활 2016년 여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신한해저선 발굴4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2016년 7월26일 ~ 9월 4일)을 개최하였다. 전시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번째는당시 유행했던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적 취향을, 2번째는 중국과 일본과 무역활동을, 3번째는 신안해저선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소개하고 있다.…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인도 이슬람 미술

    인도에 이슬람세력인 무굴제국이 들어서면서 종이가 전래되었고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회화 양식이 생겨났다. 기존의 경전의 삽화를 그리던 전통에 페르시아 회화양식이 더해지면서 세밀화 전통이 세워졌다. 16세기 이후 유럽이나 이슬람국가와의 교류가 활발해 지면서 문화적 교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박물관에 전시된 인도의 세밀화를 보면 17~18세기 유럽의 회화작품과 색상이나 표현에서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인도-이슬람 미술 12세기 이후 인도에서 이슬람교도가…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히말라야 지역의 불교조각

    인도아대륙 북부 히말라야 산맥 주변 지역에서는 불교미술 후기 양식을 꽃피웠다. 불교가 크게 융성했던 간다라지역 북부에 위치한 카슈미르 지역에서는 간다라미술의 영향을 받아 금속제 불상을 많이 만들었으며 히말라야지역 불상 양식에 기반이 되었다. 네팔과 티베트에서는 카슈미르와 동인도, 중국 등 영향을 받고 지역의 전통과 융합되어 새로운 특색을 보여주는 불상들이 만들어졌다. 금속제 불상들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지역불교의 성격이 반영되어 밀교적인 성격을…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인도의 간다라 미술

    간다라(Gandhara)는 아프카니스탄과 파키스탄에 있는 지역을 일컫는 말이다. 중동, 인도,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문화가 이 지역을 통해 유입.전파되었다. 이 지역은 불교의 전파에서도 큰 역할을 한 곳이며, 이집트, 그리스 등의 종교와 문화가 불교에 도입되어 융합되게 만든 중요한 지역이다. 간다라 지역에서 불교 신앙의 중심이 부처의 사리를 모신 스투파(탑)에서 부처를 형상화한 불상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 [중앙박물관 인도.동남아실] 인간을 닮은 인도의 신들

    힌두교는 인도의 많은 종파와 신앙을 포함하는 용어이며, 3대 주신으로는 브라흐마, 비슈누마, 시비가 있다. 신도들의 숭배는 그 형체가 있는 비슈누와 시바에 집중되어 왔으며, 이들 신을 표현한 다양한 신상(神像)들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인도에서는 신들을 인간의 형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사실적이면서 감각적이며 때로는 에로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중앙박물관에는 힌두교와 자이나교의 신들이 표현된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는데, 불교의 불상들과 이들…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지방통치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웅진기 이후 백제에서는 금동관모와 같은 위세품이 사라지고 중국 관료제의 영향을 받아 복식체계가 정비된다. 백제 복식제도를 잘 보여주는 유물로는 은제 관꾸미개를 들 수 있다. 백제의 지방에서 출토되는 관꾸미개는 지배계층의 지위를 나타내 주는데 독자적이었던 지방세력이 중앙 통치 체제에 편입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은제 관꾸미개 능산리 고분군의 고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