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구례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다양한 신장상이 새겨진 석탑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각황전 아래에 위치한 서오층석탑(보물)이다. 이 탑은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 놓은 오층석탑이다. 전체적으로 탑을 높게 만들고, 지붕돌을 경쾌하게 처리하여 날렵한 느낌을 준다. 기단 1층에는 12지신상을, 기단 2층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을, 탑신 1층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새겨 놓고 있다. 머리장식으로는 2층의 받침 위에 연꽃봉우리 장식을 올려놓고 있다. 석탑 앞에는 연꽃이 새겨진 배례석이 놓여…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석탑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원통전 앞에 세워져 있는 사자탑(보물)이다. 이 탑은 네마리의 사자가 네모난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1층 기단은 네모난 돌을, 2층 기단은 4마리의 사자가 탑신을 받치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탑신은 아래에는 연꽃받침, 몸돌은 직육면체를 하고 있다.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얕은 부조로 새겨 놓았다.이런 형태의 석탑으로 노주(露柱)라고 부르는데…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보물), 조선중기 승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에 있는 소요대사탑(보물)이다. 연곡사 경내 서쪽에 위치하고 있어 서부도(西浮屠)라고도 불린다.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전통적인 승탑 형식을 따르고 있다. 탑신 몸돌 한면에는 문짝을 새기고, 반대편에는 글자를, 나머지면에는 신중상(神衆像)을 새겨놓고 있다. 지붕돌 모퉁이에는 꽃장식을 얹었으며, 머리장식도 온전히 남아 있다. 석종형 승탑이 많이 만들어졌던 조선 중기에 조성된 승탑이지만 통일신라 승탑인 동 승탑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
구례 연곡사 북승탑(국보), 동 승탑을 모방해서 만든 고려초기 승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 경내 뒷편 언덕에 있는 북 승탑(국보)이다. 탑은 받침돌, 탑신,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돌은 3단으로 아래받침돌에는 구름무늬와 연꽃무늬를, 가둔데 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윗받침돌에는 연꽃과 돌난간으로 장식하고 있다. 동 승탑과 마찬가지로 극락조인 가릉빈가(迦陵頻伽)가 부조로 새겨져 있다. 탑신 몸돌 또한 사천왕상, 향로와 문이 각면에 새겨져 있다. 지붕돌도 서까래와 기와의 골을 섬세하게 새겼다. 날개를 편 봉황과…
-
구례 연곡사 동 승탑(국보),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승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에 위치한 동 승탑(국보)이다. 목조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든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승탑이다. 탑은 전체적으로 팔각형태를 하고 있는데, 3단의 받침돌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아래받침돌에는 용과 사자를, 가운데 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윗받침돌에는 가릉빈가(迦陵頻伽)를 새겨 놓았다. 다른 승탑과 마찬가지로 탑신 몸돌에는 탑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다. 지붕들은 당시 목조건축물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기와, 서까래…
-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형식을 보여주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위치한 삼층석탑(보물)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3단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탑은 기단을 넓게 하고, 탑신을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간결하면서도 안정감을 주고 있다. 특별한 장식은 없고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원래의 것이 아니고 새로 만들어 올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윗층 기단에서 여래입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전체적인 형태나…
-
남원 실상사 석장승, 사찰입구에 세워진 장승
전북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 앞 람천을 건너는 해탈교 양쪽에 세워진 3기의 석장승이다. 원래는 4기의 석장승이 있었는데 지금은 3기만 남아 있다. 머리에 벙거지를 쓰고 있으며, 둥근 눈에 뭉툭한 코를 하고 있는 해학적인 모습이다. 다리 앞 마을에 세워진 돌장승은 옹호금사축귀장군(擁護金沙逐鬼將軍)이고, 다리를 건너 길 양쪽에 세워진 것은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과 대장군(大將軍)이다. 석장승에 글자가 새겨져 있어 영조대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보물)
남원 실상사에 위치한 수철화상탑(보물)이다. 이 탑은 실상사를 크게 일으킨 수철화상(秀澈和尙)의 사리를 모셔놓은 승탑이다. 아래받침돌에는 구름, 용무늬와 사자가 새겨져 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겨 장식하고 있다. 몸돌은 팔각형으로 모서리에는 기둥을 새겨 놓았다. 각 면에는 사천왕상과 문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목조건축물의 기와지붕을 섬세하게 조각해 놓고 있다. 각부분에 조각해 놓은 무늬들이 오랜 세월에 마모되기는 했지만, 조각수법이 섬세하며 전체적인 규형미도…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보물),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국사 사리를 모신 탑
남원 실상사에 있는 증각대사탑(보물)이다. 실상사를 창건한 홍척(洪陟)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탑은 팔각형을 기본으로 목조건축물 형태를 하고 있다. 받침돌은 팔각형 석재를 여러층 쌓아 올렸으며 연꽃모양의 장식을 하고 있다. 탑신 몸돌은 8면으로 되어 있으며, 앞,뒤쪽에 문을 새겼다. 4면에는 탑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부조로 새겨 놓고 있다. 증각(證覺)은 홍척국사의 시호이며 남한조사(南韓祖師)라고 부린다. 통일신라대 당나라에 들어갔다가 귀국하여 선종을 크게 일으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