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부여 대조사 석탑,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는 석탑
부여군 임천면 대조사(大鳥寺) 경내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탑은 무게를 지탱해 주는 2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기단은 각층 모서리와 가운데 기둥 모양을 장식해 두고 있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적절하여 안정감을 주고 있다.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탑신은 지붕돌만 남아 있었는데 부근에서 몸돌이 발견되어 복원하였다. 2,3층 몸돌과 머리장식은 새로 만든 것이라…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청룡사 절터에 남아 있는 보각국사탑(국보)이다. 고려말에 활동한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정식 명칭은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이다. 탑은 8각형평면을 기본으로 하고있는데, 기단 아랫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에는 사자상과 용을 교대로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각면마다 무기를 들고 있는 탑신 몸돌에 새겨 넣은 신장상과 그 사이에 구름에 휩싸인 용을 섬세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새겨 놓고 있다. 승탑…
-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탑
경북 경주시 구황동 분황사 절터에 남아 있는 모전석탑(국보)이다. 돌을 벽돌처럼 다듬어서 쌓아 모전석탑으로 삼국시대 선덕여왕대에 세워졌다. 남아 있는 신라 석탑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이나 통일신라의 삼층석탑 등이 화강석을 이용해서 목탑처럼 쌓은 것이라면, 분황사 모전석탑은 벽돌로 쌓은 전탑을 모방해서 만든 것이다. 1층 몸돌에는 4면에 감실을 만들고 입구에 인왕상을 새겨 놓고 있다. 이 인왕상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