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상주 화달리 삼층석탑 (보물), 사벌왕릉 옆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경북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 절터에 있는 삼층석탑 (보물)이다. 후삼국시대 사벌국 왕릉으로 전해지는 곳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을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아래층 기단을 생략한 단층기단으로 통일신라 후기 지역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탑신은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불균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지붕돌 네모퉁이를 높게 치켜 올려 경쾌한 느낌을…
-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경북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북장사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상주 인평동에 있던 탑으로 절터에 석재들이 흩어져 남아 있던 것으로 1998년 현재의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남아 있던 부재들로 복원한 것이지만 전체적인 비례가 우수하여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조각수법도 세련된 편이다.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옆에서 본 모습>…
-
충주 미륵리 오층석탑(보물)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 옛 미륵대원지(사적)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불상이 모셔진 석굴사원 앞에 석등과 일렬로 세워져 있다. 석탑은 원래 있던 바윗돌 위에 돌을 올려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5층 탑신을 올렸다. 탑신 몸돌에는 모서리에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튀어 나온 부분이 적고 경사가 심해 벽돌로 쌓은 전탑처럼 보인다. 상륜부에는 복발, 찰주 등이 남아 있는데 머리장식…
-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보물)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절터 입구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다. 현재 아래부분과 기단이 땅속에 묻혀 있어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없지만 전체 높이 5 m정도로 당간지주 중에는 상당히 큰 편이다. 전체적으로 별다른 장식이 없으며 조각수법도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전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만복사지 절터 입구에 세워져 있는 당간지주(보물)> 당간지주는 아랫부분과 기단이…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순천 송광사 경내에 있는 보조국사 감로탑이다. 보조국사가 열반하자 왕으로부터 ‘불일 보조국사’란 시호와 ‘감로탑’이라는 탑호를 받았으며, 감로탑은 3년뒤인 1213년에 세워졌다. 원래 다른 곳에 있었으나 여러차례 옮겨졌다가 관음전 뒷편으로 옮겨졌다. 탑은 4각형의 대좌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려 놓았다. 몸돌은 구형을 하고 있으며 지붕돌은 팔각형을 하고 있는데 고려후기 조각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빼어난 것은 아니지만 고려중기…
-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국보),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걸작
국립광주박물관 중앙 로비에 전시중인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석등(국보)이다. 간결하면서도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걸작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유행했던 쌍사자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원래 광양시 옥룡면 중흥산성 절터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반출하려던 것을 회수하여 경복궁 내에 옮겼다가 이후 현재의 위치로 옮겨졌다. 쌍사자 석등은 2마리의 사자가 석등을 받치고 있는 형태로 통일신라의 독창적인 양식이다. 동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에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부석사를 오르는 은행나무길이 끝나는 지점에 세워져 있다. 깃발을 다는 장대를 지탱해 주는 높이 428 m의 돌기둥이 1 m 간격으로 세워져 있다. 기둥 사이에는 연꽃장식이 있는 당간을 받치는 받침돌이 있다. 외형이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간결하면서 세련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인 외형이나 조각수법 등을 고려해 볼 때 통일신라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보물), 전탑을 그대로 모방한 석탑
충북 제천시 장락동 절터에 남아 있는 칠층모전석탑(보물)이다. 전탑을 모방하여 만든 모전석탑으로 벽돌처럼 생긴 점판암을 다듬어 쌓아서 다른 모적석탑과는 달리 전탑과 외형이 거의 흡사하다. 탑의 높이는 9.1 m로 상당히 높은 편이며, 감실이 있는 1층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렸다. 탑신 지붕돌은 위.아래 모두 층단을 갖춘 전형적인 전탑의 형식을 하고 있으며 귀퉁이에는 풍경을 달았던 구멍이 있다. 석탑의…
-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보물), 가야산 고갯길 입구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경북 성주군 수류면 백운리 법수사(法手寺)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높이 6 m로 비교적 큰 규모로 석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을 새겼으며, 위층 기단과 탑신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일반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에 비해 1층 기단이 높게 만들었다. 해인사 부근 월광사지 삼층석탑과 비슷한 양식이다. 전체적으로 약간 불안정하게 보이며 전체적인 조형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