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부여 무량사 석등(보물)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오층석탑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보물)이다. 이 석등을 8각형 평면으로 3단의 기단위에 화사석과 지붕돌, 머리장식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아래 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이 조각되어 있으며,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모양을 하고 있다. 화사석은 4면에 불을 밝히는 창이 뚫려 있으며 지붕돌은 모통이를 살짝 들어올렸다. 전체적으로 지붕돌을 크게 만들기는 했지만 가볍고 경쾌한…
-
논산 관촉사 석등(보물),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거대한 석등
충남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앞에 세워진 석등(보물)이다. 거대한 불상에 걸맞은 높이 5.45 m의 4각형 평면을 하고 있는 거대한 석등이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은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은 굵고 둥근 기둥처럼 만들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상하 2층으로 되어 있는데 1층 4개의 기둥이 지붕돌을 받치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불상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균형미는 조화롭지 못하지만, 지방 호족 세력의 힘을…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석등(국보)이다. 석등은 높이 2.97 m 이며 통일신라 석등의 표준이 되는 형태를 하고 있다. 8각형 평면의 기둥처럼 만든 기단 위에 화사석을 올려 놓았다. 석등을 받치는 바닥돌 옆에는 안상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위 아래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가운데받침돌은 8각형 기둥처럼 만들었으며 그 위 연꽃무늬가 새겨진 윗받침돌을 올려 놓았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사탑(보물), 쌍탑 형식으로 만들어진 승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보물)이다. 고려말 승려인 보제존자 나옹의 승탑이다. 원주 영전사지에 있던 것을 일제시대때 일본인들이 경복궁으로 옮겼던 것을 현재는 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승탑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신 쌍탑 형식의 삼층석탑으로 만들어 졌다. 고려말에 통일신라 쌍탑 형식으로 세운 것도 특이하며, 제대로된 형태를 갖춘 삼층석탑 중에서는 후대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기단과 탑신…
-
부여 무량사 김시습 승탑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있는 김시습의 승탑이다. 무량사 입구 서쪽편 언덕에 여러기 승탑들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승탑은 기단, 탑신,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승탑 형태를 하고 있으며, 기단에 용을 새겨 놓고 있다. 조선시대 승탑으로서는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뛰어난 편이다. 승탑 앞에는 그를 위해 막걸리 1통과 과일이 놓여져 있는데, 그를 추모하는 사람들의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부여…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 감로탑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 관음전 뒷편에 있는 보조국사 지눌의 감로탑이다. 고려후기에 만들어진 승탑으로 2층 대좌위에 둥근공 모양의 몸돌과 지붕돌이 올려져 있다. 고려후기 승탑사리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지만, 탑의 재료나 조각수법, 전체적인 비례에 보여주는 조형미 등이 통일신라나 고려 기의 승탑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 승보사찰로 여겨지는 송광사와 조계종을 대표하는 보조국사 지눌의 역사적인 의미나 불교계에서의 위상 등을 고려해…
-
양양 선림원지 승탑(보물)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승탑(보물)이다. 이 승탑은 일제강점기에 파괴되었던 것을 각 부재를 수습하여 복원한 것으로 지금은 기단부만 남아 있다. 원래는 절터 뒷편으로 50m 쯤 올라간 중턱이라고 한다. 네모난 바닥돌과 8각의 아래받침돌은 같은 돌로 2매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받침돌 각 면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안상안에는 사자 4쌍이 새겨져 있다. 아래받침돌 위에는 연꽃이 새겨진…
-
공주 갑사 승탑(보물), 생동감있는 조각상이 표현된 승탑
충남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 갑사에 승탑(보물)이다. 3단으로 된 기단 위에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승탑이다. 받침돌은 아래층이 넓고 위층을 좁게 만들었다. 아래받침돌에는 사자.구름.용을 입체감 있게 조각해 놓고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꽃장식과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을,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문짝과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다. 지붕돌은 기와골 등을 실제 목조건축물처럼 섬세하게 조각했다.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다. 전체적으로 입체감…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 윤다의 승탑
전남 곡성군 죽곡면 동리산 태안사 입구에 있는 광자대사탑(보물)이다. 높이 약 3 m의 탑은 고려초 태안사를 크게 일으킨 승려 광자대사 윤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탑은 8각형으로 된 승탑으로 적인선사탑의 양식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에는 덩굴무늬와 연꽃무늬가 새겨졌다. 가운데받침돌은 낮게 만들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두 줄로 조각하였다. 탑신 몸돌에는 향로, 문짝, 사천왕상을 새겼다. 지붕돌은 높게 만들었는데 서까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