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산 서장대를 지나서 능선을 따라 연결된 성벽을 내려오면, 나즈막한 언덕에 설치된 서북각루에서 잠시 쉬었다가, 평지에 도달한다. 이곳에서 화서문(華西門, 보물)과 화서문을 지키는 망루 역할을 하는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보물)을 볼 수 있다. 화서문 부근을 보면 잘 알 수 있듯이 수원화성은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외벽을 쌓은 석축성을 기본으로 하고 암문, 옹성, 포루, 공심돈, 여장 등에는 벽돌을 일부 사용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대부분 벽돌을 이용해서 쌓은 전성이다. 화서문은 화성 서남쪽 남양만과 서해안 안산지역으로 연결되는 길이 출발한다.
<수원화성 화서문(보물)과 서북공심돈(보물)>
성문 앞에 옹성을 쌓고, 북쪽에는 공심돈을 두어 성문을 엄호하고 있다. 화서문을 통해 남양만과 안산일대 서해안 지역과 연결된다.
화서문(華西門)
화서문은 화성의 4대문 중 서문에 해당한다. 1896년 (정조 20면)에 완공된 약 200년된 건축물이다. 정문인 팔달문이나 북문인 장안문보다 성문의 크기가 작다. 성문 바깥쪽에는 옹성을 쌓았으며, 팔달문과 달리 옹성에 출입문을 별도로 두고 있지 않다. 화서문은 축성당시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어 팔달문과 함께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화서문 편액은 초대 화성유수이자 정조대왕의 최측근인 채제공(蔡濟恭)이 썼다고 한다.
<성벽에서 본 모습>
화서문은 화강석으로 석축을 쌓은 홍예문으로 1층 문루를 올려 놓고 있다. 성문 앞쪽에는 벽돌로 옹성을 쌓아 방어기능을 강화했다. 2층문루를 올려 놓은 팔달문이나 장안문에 비해 규모가 작다. 동문에 해당하는 창룡문과 비슷한 규모와 구조를 하고 있다.
<화성 내부에서 본 모습>
문루는 앞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이다. 판벽을 설치해 놓은 팔달문과는 달리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전형적인 문루 형태를 하고 있다. 문루 앞에 벽돌로 여장을 쌓아 조총 공격에 대비하고 있다.
<화서문 현판>
초대 수원유수를 지낸 채제공이 쓴 글씨라고 한다.
<문루를 오르는 계단>
<문루 내부>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전통적인 성문 문루 형태를 하고 있다. 이전에 세워진 읍성 문루에 비해 여장을 높게 쌓았다.
<성문>
성문은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석축을 쌓은 전통적인 홍예문이다.
<바깥에서 본 모습>
성문 바깥쪽에는 옹성을 쌓아 방어기능을 보완하고 있다. 화강석으로 석축을 쌓은 성문과 달리 구운 벽돌로 쌓은 중국풍의 전성(塼城)이다.
<옹성내부>
옹성에 출입문을 두고 있는 팔달문과 달리 옹성 한쪽을 열어 놓고 있다.
<옹성 성벽 위>
여장이 있는 통로를 두고 있다.
<화서문 남쪽 팔달산으로 연결되는 성벽>
<성벽 안쪽>
<서북각루에서 화서문으로 이어지는 성벽>
<2010년 수원화성 화서문>
수원 화서문(華西門), 보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동
화서문은 화성의 4대문 중 서쪽 대문이다. 1796년(정조19) 7월21일 공사를 시작하여 1796년(정조20) 1월8일 마쳤다. 화성 서쪽의 남양만과 서해안 방면으로 연결되는 통로 역할을 하였다.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보물 403호로 지정되었다. 편액은 초대 화성유수였더너 채제공(蔡濟恭)이 썼으며 옹성안 홍예문 좌측 석벽에는 성문공사를 담당하였던 사람과 책임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출처:수원시청>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화서문 왼쪽에는 성문을 엄호하기 위한 방어시설로 서북공심돈을 두고 있다. 공심돈은 적의 동향을 살피기 위한 망루인 돈대이다. 수원화성에는 청나라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여러 시설물을 두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공심돈이다. 구운 벽돌을 쌓어서 만든 시설로 당시 정조대왕이 크게 자랑스러워했다는 시설이다. 아마도 중국 만리장성이 시작되는 지점인 천하제일관의 문루와 돈대, 성벽 등의 시설을 보고 수원 화성 축성시 많이 참조해서 그런것으로 보인다.
<서북공심돈(보물)>
화서문 동쪽편에는 성문을 엄호하기 위해 세운 방어시설인 서북공심돈이 있다. 수원 화성은 정약용 등 당대 최고의 실학자들이 동서고금의 성곽에 대한 기술을 연구하여 쌓은 조선시대 최고의 읍성으로 다양한 시설을 두고 있다. 공심돈은 수원화성에만 있는 시설로 청나라의 영향을 받았지만 치성 위에 돈대를 세우는 등 독창적인 면도 보인다.
<성벽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공심돈>
석축으로 쌓은 치성(雉城) 위에 벽돌로 속이 비어 있는 2층 돈대(墩臺)을 쌓고 그 위에 누각을 올려 놓았다. 돈대는 속이 비어 있어 공심돈이라 부른다. 치성에는 북쪽과 서쪽편에 각 2개씩 현안(懸眼)을 두고 있다.
<총안과 포루>
1,2층에는 각면에 바깥으로 조총공격을 할 수 있도록 6개의 총안(銃眼)을 설치하고, 그 위에 포루를 설치하고 있다.
<공심돈 내부로 들어가는 문>
<수원화성 공심돈 내부(모형, 수원화성박물관)>
<공심돈 내부>
<공심돈에서 화서문으로 이어지는 성벽>
성벽 아래 길을 화서문 옛길 (화수문~수원천)이라 부른다. 이 길은 수원화성 축성 때 만들어진 길로 몇백년 세월의 여유와 깊이를 품고 있는 길이다.
<서북공심돈과 화서문>
수원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 보물,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동
공심돈은 적의 동향을 살핌과 동시에 공격도 가능한 시설로 수원화성에서만 볼 수 있다. 1796년(정조20) 3월10일 완공된 서북공심돈은 3층 건물로 아래쪽 부분의 치성(雉城)은 석재로, 위쪽 부분의 벽체는 전돌로 쌓았다. 내부는 전투에 편리한 구조를 갖추었으며 계단을 통해 오르내렸다. 1797년(정조21) 1월 화성을 방문한 정조는 서북공심돈을 보고 “우리나라에서 처음 만든 것이니 마음껏 구경하라”며 매우 만족스러워했다고 한다. 독창적인 건축형태와 효과적인 재료 활용을 보여주는 서북공심돈은 역사적, 학술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출처:수원시청>
답글 남기기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로그인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