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장엄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장엄구’이다. 황룡사 구층목탑 심초석 아래는 사리공과 함께 ‘지진구’라 불렸던 많은 공양품 들이 발견되었다. 예전에는 큰 건물을 세울 때 땅의 기운을 누르기 위해 땅에 묻는 물건으로 지진구라 불렸으나 최근에는 공양품이라고 한다. 황룡사 심초석 아래에는 목탑을 처음 세울 때 묻은 공양품과 이후 수리과정에서 다시 묻은 공양품들이 있다. 그 종류는 청동그릇, 침통, 칼, 가위, 청동거울, 중국에서 수입한 백자 등 일상생활용품을 비롯하여 귀걸이, 팔찌, 허리띠 장식, 곱은옥 등 장신구, 금동관불 등 매우 다양하다. 그 중 사리공은 872년 중수할 때 그 이력을 적은 ‘찰주본기’와 함께 묻은 것이다.

<사리장엄구>

사리공 안에는 사리 외함이 있었고, 외함 안에 다시 사리 내함(찰주본기)를 봉안하고 덮개돌을 놓았다. 덮개돌은 도굴될 때 깨지면서 손상되었다.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공 덮개돌, 신라~통일신라,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사리공>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공 덮개돌과 내부에 안치한 사리 내함, 신라~통일신라,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사리공
황룡사 구층목탑 심초석 사리공 안쪽의 모습을 재현하였다. 사리공 안에는 사리 외함이 있었고, 외함 안에 다시 사리 내함(찰주본기)를 봉안하고 덮개돌을 놓았다. 덮개돌 가운데를 뚫어 둥근 손잡이를 연결하고 돌 아랫면에는 금동판을 붙였는데, 1964년 사리공 안에 있던 사리장엄구가 도굴될 때 덮개돌이 깨지면서 손잡이 등이 손상되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24년)

내함 (찰주본기)은 4개의 금동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결하여 상자를 만들었다.  1면에는 문고리는 문이며 다른 3면에는 탑을 조성한 경위와 871년에 중수한 내용을 새겨놓고 있다.

<사리 내함, 황룡사 찰주본기, 통일신라 872년,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사리공, 보물>
<사리 내함 뚜껑, 통일신라 872년,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사리공>
< 1) 합 >
< 2) 사리기 >
< 3) 사리기 >
< 4) 합 >
< 5) 구슬 >
< 6) 연꽃모양 받침 >
< 7) 장식구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아래에 있던 공양품 중 1) 의례용기, 2) 꾸미개, 3) 낫, 도끼, 가위, 4) 가락바퀴, 5) 금실, 6) 운모, 7) 은판.청동판.아연판, 8) 허리띠 꾸미개이다. 땅의 기운을 누리기 위해 묻었던 지진구로 불렸던 물건들이다.

< 1) 의례용기 >
< 2) 꾸미개 >
< 3) 낫, 도끼, 가위 >
< 4) 가락바퀴 >
< 5) 금실, 6) 운모 >
< 7) 은판.청동판.아연판 >
< 8) 허리띠 꾸미개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아래에 있던 공양품 중 1) 거울, 2) 고리, 3) 팔찌, 고리, 4) 꾸미개, 5) 손칼, 침통, 6) 합, 7) 대접, 8) 뚜껑, 접시이다. 일상 생활용품으로 대표적인 지진구 성격의 물건들이다.

< 1) 거울 >
< 2) 고리, 3) 팔찌, 고리, 4) 꾸미개, 5) 손칼, 침통 >
< 6) 합 >
< 7) 대접, 8) 뚜껑, 접시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아래에 있던 공양품 중 1) 대접, 2) 구슬, 유리, 3) 방울, 4) 수정, 5) 곡옥, 6) 손칼이다.

<1) 대접 >
< 2) 구슬, 유리>
< 3) 방울 >
<4) 수정>
<5) 곡옥, 6) 손칼 >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터 심초석 아래에 있던 공양품 중 1) 대접, 2) 꾸미개, 3) 손칼, 4) 수정 곡옥, 5) 백자 항아리, 6) 귀걸이이다.

<1) 대접 >
< 2) 꾸미개, 3) 손칼, 4) 수정, 곡옥 >
< 5) 백자 항아리 >
< 6) 귀걸이 >

황룡사 구층목탑터에는  64개(가로 8 x 세로 8)의 초석과 심초석이 남아 있다.

<부처의 사리를 모셨던 심초석>
<황룡사 구층목탑 모형>

황룡사 구층목탑 사리장엄구
황룡사는 신라 최대의 절로 <삼국유사>에서 말한 신라의 세가지 보물 중 두 가지인 장육존상과 구층목탑이 있었다. 553년(진흥왕 14)에 월성 동쪽에 궁궐을 짓던 중 황룡이 나타나자 계획을 바꾸어 절을 세우고 황룡사라고 이름 붙였다. 진흥왕 대에 기초 공사를 하고 담장을 세웠으며 장육존상을 만들었다. 진평왕 대에 3금당을, 선덕여왕 대에 구층목탑을 만들었다. 1238년에 몽골이 침입하여 절이 다 타 버릴 때까지 구층목탑은 여러 번 기울거나 불이 났고, 여섯 번을 고쳐 세웠다. 탑을 여러 번 고쳐 세우면서 목탑 심초석 윗면에 사리를 넣는 사리공에는 사리장엄구를 추가로 넣었다. 사리장엄구 중에는 사리 내함에는 구층목탑을 세우고 872년(경문왕 12)에 수리한 내용을 담은 <황룡사찰주본기>가 안팎에 새겨져 있어서 주목을 끈다. 심초석 아래쪽에서 발견된 공양품은 탑을 세울 때 넣은 것이다. 조개껍데기를 담은 백자 항아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그릇, 금속으로 만든 장식구, 구슬 등이 발견되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24년)

<출처>

  1.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1년/2024년
  2. ‘보물 황룡사 구층목탑 찰주본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