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일본 가가와현] 젠쓰지善通寺

일본 가가와현에 있는 젠쓰지善通寺이다. 시코쿠 88개 순례 사찰 중 75번째에 해당하는 곳이다. 일본 진언종을 연 홍법대사 구카이空海가 태어난 곳으로 고야산, 교토 도지東寺와 함께 홍법대사 3대 성지로 손꼽힌다. 가람伽藍이라불리는 동원東院과 탄생원誕生院이라 불리는 서원西院으로 구성되어 있다. 젠쓰지는 지역 호족이었던 구카이의 아버지로부터 토지를 기증받아 창건되었다고 한다. 당나라 유학시절 스승 혜과恵果가 머물렀던 중국 장안의 청룡사青龍寺를 본떠 지어졌다고 하며 금당, 탑, 강당 등 많은 전각들이 있었다고 한다.

<가가와현 젠쓰지善通寺>

홍법대사 구카이空海(774 ~ 835년)는 일본 헤이안시대 승려로 이곳에 태어났다. 천태종을 연 사이초最澄와 함께 견당사로 당나라를 다녀온 후 중국 밀교를 들여와 일본 진언종을 열었다. 교토 도지東寺 등에서 활동했으며 고야산에서 입적했다. 

<금당 앞 석상>

동원東院

동원東院은 젠쓰지 창건 당시 조성한 구역으로 가람伽藍이라 부른다. 남대문, 금당, 강당, 오층탑으로 구성된 전통 사찰 가람 배치를 따르고 있다. 금당 앞 마당 오른쪽에 오층탑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쌍탑식 가람배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금당에는 약사여래를 본존으로 모시고 있다. 뒷편 강당 건물은 남아 있지 않다. 동쪽에 출입문인 아카몬赤門을 두고 있으며 서쪽에는 서원과 연결되는 중문을 두고 있다. 아카몬 안쪽에는 석가모니를 모신 석가당釈迦堂이 별도로 있다.

<남대문>

금당金堂은 1699년에 중건된 건물이다. 내부에는 목조 약사여래좌상을 모시고 있다.

<금당金堂>
<옆에서 본 모습>

오층목탑은 높이 약 43m로 1902년 중건되었다. 내부에는 오지여래五智如来이 안치되어 있다. 시코쿠 지방에 드문 형태로 교토의 도지東寺 목탑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오층목탑>

석가당은 단층의 목조 건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에도시대에 중건한 곳으로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다.

<석가당>

동원에는 금당과 석가당 외 큰 전각을 두고 있지 않다. 넓은 마당에는 신사神祠처럼 보이는 작은 건물들이 있으며 사찰의 오랜 내력을 말해주는 큰 고목이 마당 한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종루鐘楼堂>

사에키묘佐伯祖廟, 홍법대사 아버지를 모시는 신사이다

<사에키묘佐伯祖廟>
<녹나무>
<녹나무 아래 오사명신五社明神>
<아카몬 안쪽에 있는 신사天神社>
<동문인 아카몬赤門>
<아카몬 앞 석등과 하마비>
<아카몬 앞에 있는 신사荒魂神社>
<도로에서 보이는 젠쓰지>
<서원으로 연결되는 중문>

부속 암자인 탑두塔頭

이 사찰에는 부속암자인 탑두가 49곳 있었다고 전해지며 지금은 4곳의 탑두가 남아 있다. 관지원観智院은 홍법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관음신앙을 보여주고 있다. 동원 중문을 나와 서원 인왕문을 가는 길에 관지원과 화장원華蔵院을 볼 수 있다.

<동원과 서원 사이 마을>
<길에서 볼 수 있는 석상들>
<부속암자 중 한곳인 화장원華蔵院>

관지원観智院은 젠쓰지 경내에 있는 탑두塔頭 중 한곳이다. 진언종의 수행 전통을 따르는 승려들의 수행공간이다. 젠쓰지를 찾은 순례자들을 위하나 숙소로도 사용된다고 한다.

<관지원 회랑>
<본당 앞 관음보살>
<관지원 마당에 있는 홍법대사 석상>

서원西院

서원은 탄생원誕生院이라고도 부르며 홍법대사가 태어난 장소를 기념하는 공간이다. 지방 호족이었던 홍법대사 부모가 살았던 저택이 있었던 곳으로 보인다. 홍법대사가 태어난 장소인 어영당御影堂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전각들이 있다.  본당 앞에서 왼쪽으로 방향을 바꾸면 중문에서 동원을 나와 탑두 사이를 지나 서원에 이른다. 하츠히바시廿日橋를 건너 인왕문, 회랑을 거쳐 정면에 대사당大師堂이 있다.

<하츠히바시廿日橋와 인왕문>

인왕문에는 남북조시대(1370년)에 제작된 금강역사를 볼 수 있다.

<금강역사(오른쪽)>
<금강역사>
<인왕문 앞 수로(서쪽)>
<인왕문 앞 수로(동쪽)>

인왕문을 들어서면 홍법대사가 태어난 곳에 세워진 어영당까지는 회랑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동쪽에는 성령전을 비롯하여 작은 전각들이 들어서 있으며 서쪽에는 어영당이 들어서 있다. 

<회랑 내부>

어영당御影堂은 서원의 중심공간을 홍법대사 구카이空海를 모신 전각이다. 대사동大師堂이라고도 부르며, 많은 순례자들이 참배하는 공간이다. 시코쿠 88개소 순례의 핵심장소로 많은 순례자들이 이곳에서 순례자 의식을 행한다고 한다.

<어영당御影堂>
<어영지御影池>
<어영당 뒷편 보물관>

어영당 옆에는 20세기에 새로 지어진 성령전聖霊殿, 지장당地蔵堂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전각들이 배치되어 있다. 지장전 뒷편 회랑에는 금당에서 옮겨온 오백나한상을 볼 수 있다. 

<성령전聖霊殿>
<지장당地蔵堂>
<오백나한상>

고마도護摩堂는 일본 천태종이나 진언종같은 밀교 계열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전각이다. 밀교 의식인 호마護摩를 봉행하는 곳이다.

<고마도護摩堂>
<신란도親鸞堂>
<종루鐘楼堂>

어영당을 지나면 순례코스인 코시키산香色山으로 연결된다. 젠쓰지이 있는 곳의 산은 오악산五岳山이라고 부른다. 이는 젠쓰지를 둘러싼 다섯 산에서 따온 것입니다. 코시키산
香色山은 그 다섯 산 중 가장 중심에 있는 산이다.

<코시키산香色山으로 연결되는 길>
<제세교済世橋>
<홍법대사기념비空海記念碑>
<뒷편에 있는 스투파パゴダ供養塔>

<출처>

  1. 善通寺, wikipedia,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