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하관계회도(보물), 안견풍으로 그린 병조 관리들의 모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보물)이다. 병조에 근무했던 관리들의 계회 모임을 그린 그림이다. 이 그림에 표현된 모임을 갖고 있는 장소의 배경은 실제 장소의 모습이 아니고 산과 물, 정자 주변 풍경 등 안견풍 산수화의 양식을 따르는 이상적인 산수를 표현하고 있다. 조선전기 산수화풍과 계회도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비슷한 양식의 계회모임을 그린 작품들이 남아 있다.

<하관계회도 夏官契會圖, 그림 작가 모름, 제시 성세창, 조선 1541년경, 비단에 먹, 보물>

위에는 “하관계회도夏官契會圖”라는 모임 명칭이 적혀 있으며 중간에는 야외에서 모임을 갖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왼쪽 여백에는 조선 중기 문신인 성세창의 시가 적혀 있다.

<윗부분>
<이상적인 산수를 표현하고 있는 계회도 그림>
<모임 장면>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다리를 건너는 모습>

하단에는 참석한 선비들의 관직·성명·본관 등의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참석자 명단>

하관계회도 夏官契會圖, 그림 작가 모름, 제시 성세창, 조선 1541년경, 비단에 먹, 보물
군사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병조兵曹 관리들의 모임을 그렸습니다. 그림 제목의 ‘하관夏官’은 병조의 별칭입니다. 일반적으로 계회도의 화면은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맨 위에는 모임 제목, 가운데에 모임 장면, 가장 아래에는 참석자 명단이 있습니다. 이 작품도 이런 계회도의 형식을 지키고 있습니다. 모임 배경은 산과 물, 정자 주변 풍경까지 섬세하게 그려져 있는데, 한쪽으로 치우친 구도와 두 그루의 소나무 등 안견풍 산수화의 양식을 따른 이상경으로 표현되었습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특별전, 2025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특별전, 2025년
  2. ‘보물 성세창 제시 하관계회도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