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춘천의 명산인 오봉산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청평사(淸平寺)이다. 한국전쟁으로 회전문(보물)을 제외하고 대부분 전작이 불타버려 절터만 남아 있었다. 현재 볼 수 있는 전각들은 원래 있던 계단이나 축대 등을 활용하여 중수한 것이다. 청평사는 원래는 춘천과 화천, 양구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가까운 계곡에 자리잡고 있었던 사찰이었는데, 소양감댐이 건설되면서 유람선을 이용하여 갈 수 있는 외딴 곳에 자리잡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곳이다. 청평사 일대 계곡은 고려시대 문벌귀족이었던 이자현이 선원을 열고 은둔했던 곳으로 경치가 빼어난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청평사는 고려초기인 973년 창건되어 백암선원이라 불리었다. 이후 문벌귀족인 이자현이 1089년 절을 중수하였다. 조선중기 명종대 불교를 크게 중흥시켰던 승려 보우가 이 절을 크게 중수하면서 청평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때 능인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들을 새로 지었다. 이후 한국전쟁때 폭격으로 회전문을 제외한 전각들이 불타버렸던 것으로 복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아래 사진은 극락전을 복원한 직후의 모습으로 보인다.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만든 돌계단과 석축 등에서 궁궐건물에서 볼 수 있는 격조높은 모습을 볼 수있다.

청평사가 있는 계곡을 고려선원이라 한다. 아늑한 분지형을 이룬 입지환경 속에 사찰, 계곡, 연못,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져 정원을 형성하고 있다


가람배치는 회랑(행각)이 있는 회전문, 누각, 중문을 들어서면 대웅전, 관음전, 나한전이 있는 대웅전 영역이 있고, 뒷편에 극락전과 산신각이 있다. 사찰의 규모는 크지 않지만 궁궐 정전영역같은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청평사 회전문(보물)은 사찰을 수호하는 사천왕이나 금강역사를 모신 천왕문이나 금강문과는 달리 중생들에게 윤회전생을 깨우치게 하는 의미를 갖게하는 출입문이다. 건축적으로는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독특한 형태의 사찰출입문으로 조선중기 건축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회전문과 양쪽의 회랑은 일반적인 사찰에서 보기힘든 건물배치이다. 벽이 없고 개방된 형태의 회랑은 궁궐 정전영역을 연상시킨다.


회전문을 들어서면 2번째 출입문으로 누각인 강선루가 있고, 그 양쪽에 각 4칸 규모 회랑이 있다. 전란으로 소실된 옛 건물을 복원한 것이다. 일반 사찰에서는 보기 힘든 공간배치이다.




강선루 내부는 대웅전 영역과 나무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대웅전 영역 앞쪽에는 ‘-‘자형 회랑형식의 행각이 있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에는 궁궐 정전영역처럼 회랑을 둔 공간배치가 일반적이었으나, 이후 사찰에서는 거의 볼 수 없는 구조이다.


청평사 주불전이 있는 중심영역은 대웅전을 중심으로 마당 양쪽에 관음전과 나한전이 배치되어 있다. 앞쪽에는 회랑이 있어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격식을 갖춘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전각들은 한국전쟁 때 소실된 것을 1970년대에 중건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뒷편에는 산중사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극락전과 삼성각이 있다.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건물 중 가장 먼저 복원되었다.

청평사 극락전은 건축미가 뛰어나서 국보로 지정되었는데,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건물은 앞면 3칸 규모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승려들이 수행하거나 손님들이 묵을 수 있는 요사채는 회전무 앞 마당 서쪽편에 배치되어 있다. 조선초기 천재이자 생육신의 한명인 김시습도 청평사 요사채에서 머물렀었다고 한다.





마당 한쪽편에는 청평산 문수사 시장경비가 있었던 자리가 남아 있다. 문수사 시장경비는 고려 말 원나라에서 청평사에 보내온 대장경과 사찰 후원금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비석이다. 이는 당시 고려와 원나라의 국제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고려말 대학자인 익제 이제현이 비문을 짓고 당대 최고의 명필인 문하시중 행촌 이암이 비문을 썼으나 1800년대 훼손되어 현재는 비석을 세울 때 받침돌로 썼던 비좌와 비문의 탁본이 전하고 있다.

전란 등으로 파손된 비석을 탁본, 문헌 등의 자료를 통해 복원한 것이다. 고려 중기인 1130년(인종8)에 건립된 것으로 이 절의 창건, 중건 내력과 이곳에서 수행한 고려중기 세도가 이자현의 행적 등을 기록해 놓고 있다.

청평사를 들어가는 고갯길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이다. 이 탑은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다. 중국 당나라 공주가 이곳에서 상사뱀을 떼어냈다는 설화가 남아 있다.

청평사지淸平寺址
고려 광종 24년(973)에 영현선사(永玄禪師)가 이곳에 절을 세우고 백암선원이라고 하였다. 이곳은 얼마 뒤 문을 닫았는데 문종 22년(1068)에 이 지역에서 벼슬을 살던 이의가 절을 고치고 새로 열면서 이름을 보현원이라고 바꾸었다. 선종 6년(1089)에는 이의의 아들인 이자현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은거하면서 많은 건물을 새로 짓고 이름을 문수원이라고 하였다. 이후 조선 명종 때 승려 보우선사(普雨禪師)가 절을 고처 지으면서 이름을 청평사로 바꾼 것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청평사에는 국보로 지정되었던 극락전 건물과 고려 최고의 명필가인 탄연이 쓴 문수원기비가 전해 내려왔는데 한국 전쟁으로 인해 소실되었다. 이들은 1975년과 2008년에 각각 복원되었다. 그 밖에도 회전문(보물), 청평사 삼층석탑(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진락공 부도, 환숙당 부도 등 귀한 유물이 많이 남아있다. 또 절 주변의 자연 지형을 이용한 고려시대의 정원 양식을 보여준다. 직사각형의 연못인 영지,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진 뛰어난 경치에 이끌려 이제현, 김시습, 이황 등 많은 문인이 찾아 머무르거나 글을 남기기도 했다. (안내문, 춘천 청평사, 2025년)
<출처>
- 안내문, 춘천 청평사, 2025년
- ‘청평사, 위키백과,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