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밀양 밀양향교 대성전(보물)

경남 밀양시 교동에 있는 <밀양향교 대성전>(보물)이다. 앞면 3칸, 옆면 2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전형적인 조선중기 향교 대성전 양식을 하고 있다. 현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2년에 중건하였으며 1820년에 다시 고쳐지었다. 건물을 다시 고쳐지을 때 옛 건물의 기둥, 익공, 창호 등을 재사용하여 옛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다.

<밀양향교 대성전(보물)>
<처마와 공포>
<출입문과 기둥>
<왼쪽에서 본 모습>
<오른쪽에서 본 모습>

대성전大成殿은 향공간의 중심 건물로, 공자와 유교의 사성四聖, 십철十哲 등의 위패를 모신다. 건축적으로는 가장 격식을 갖춘 건물로, 장중하고 단정한 구조를 하고 있다.

<제향공간 내삼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모습>
<밀양향교 제향공간>

밀양 향교 대성전, 보물
향교는 유교의 성현을 받들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나라에서 지방에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밀양향교 대성전은 공자와 그의 제자, 중국과 우리나라의 이름 높은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공간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으나 밀양 부사 최기가 1602년 현재 위치로 옮겨 지었고, 부사 이현시가 1821년 고쳐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대성전을 옮길 때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면서 기둥으로 전달하는 공포를 앞면은 새로 만들고 뒷면은 원래 있던 것을 활용했다. 200년 시차를 둔 조선 중 · 후기 건축 기술의 흐름과 특징을 한꺼번에 보여 줌으로써 두 건축양식이 공존하는 미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제례 공간인 대성전과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각기 다른 방향을 바라보도록 한 자리 배치는 국내에서 밀양향교가 유일하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에 석전대제를 봉행한다. (안내문, 밀양시청, 2025년)

<출처>

  1. 안내문, 밀양시청, 2025년
  2. ‘보물 밀양향교 대성전’,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