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석탑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이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다. 탑은 이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삼층석탑이다. 기단에는 기둥모양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안상만 새겨 놓고 있다. 탑신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겼다. 제작수법이 간단하면서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와 고려초기의 석탑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산 범어사 삼층석탑(보물)

주불전인 대웅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크지 않은 규모를 하고 있다.

<왼쪽에서 본 모습>
<오른쪽에서 본 모습>

기단부에는 모서리에 옆면의 기둥모양은 생략되었으며, 아랫층에는 3개씩, 윗층에는 1개씩 안상이 새겨져 있다.

<기단부>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은 평평하게 만들었으며, 그 끝을 살짝 들어올렸다.

<탑신 1층 몸돌과 지붕돌>

평평하고 얇은 지붕돌은 처마가 수평을 이루며, 밑면의 받침이 4단으로 되어 있어 통일신라 후기의 양식을 보여준다.

<탑신부 2층과 3층>
<옆에서 본 모습(오른쪽)>
<뒤에서 본 모습>
<옆에서 본 모습(오른쪽)>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범어사는 통일신라 때 전국 화엄십찰 중 하나이며, 남해안 침략하는 왜倭를 물리치고자 하는 바램으로 세웠던 사찰이다. 호국사찰 성격을 갖고 있었던 화엄종 사찰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전각이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대에 중건하기 시작하여 숙종대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이 삼층석탑은 범어사에 남아 있는 거의 유일한 통일신라시대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부산 범어사 경내>

부산 범어사 삼층 석탑, 보물
석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넣고 흙이나 돌로 쌓아 올린 불교 특유의 조형물을 가리킨다. 부산 범어사 삼층 석탑은 대웅전 앞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으로 신라 흥덕왕 10년 (835)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신라 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기단에 코끼리 눈 모양인 안상眼象 을 큼직하게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이 탑의 난간과 맨 아랫부분의 돌은 일제 강점기에 수리하며 추가한 것으로, 이 때문에 1층 몸돌에 비해 이층 이상의 몸돌은 크기가 급격히 줄어들어 비례가 불균형한 편이다. 또한 얇은 지붕돌은 통일 신라 말기의 특징을 보여 준다. (안내문, 부산 범어사, 2025년)

<출처>

  1. 안내문, 부산 범어사, 2025년
  2. ‘보물 범어사 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