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부산 범어사 대웅전(보물)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대웅전(보물)이다. 범어사 주불전으로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모시고 있다. 현재의 건물을 조선후기 숙종 때 크게 중창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기둥 위의 장식과 처마의 구조가 섬세하고, 화려하지 않지만 섬세한 문살을 두고 있다. 건물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중후한 느낌을 주고 있다.

<오른쪽에서 본 모습>

건물은 앞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낮은 기단위에 건물을 올려 놓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중후하면서 화려한 느낌을 준다. 영주 부석사와 마찬가지 경사진 지형에 단계적으로 전각을 배치하고 있는데, 사실상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앞에서 본 모습>
<오른쪽에서 본 모습>
<왼쪽에서 본 모습>
<앞에서 본 모습>

화려한 다포계공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둥 위의 장식이나 공포 등을 만든 솜씨가 섬세하면서 뛰어나다.

<대웅전 현판>
<다포계 공포>

양쪽 옆칸에는 3분합문을 사용하고 있다. 문살은 빗살무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기둥과 창호>

축대를 쌓아 인공적으로 공간을 조성하고 있는데 비교적 넓게 만들었다. 화강석으로 만든 축대에는 연꽃 등을 새겨놓고 있다.

<건물 기단>

본존불인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의 미륵보살과 오른쪽의 제화갈라보살의 삼존을 모시고 있다. 

<대웅전 내부>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범어사은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십찰 중 하나이나이다. 삼국시대 신라를 괴롭히던 왜(倭)를 물리치고 했던 소망이 담긴 전형적인 호국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되었던 것을 광해군 때부터 중창하였으며, 정조 때 백암선사가 크게 중건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경내에는 대웅전(보물), 삼층석탑(보물), 조계문(보물)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범어사 경내>

부산 범어사 대웅전, 보물
대웅전은 절의 중심 건물이며, 석가모니불을 모신 곳이다. 대웅은 법화경에 나오는 말로, 큰 영웅, 곧 석가모니불을 자리킨다. 부산 범어사 대웅전에는 가운데에 석가모니불이, 양옆에 미래를 상징하는 미륵보살과 과거를 상징하는 제화갈라보살이 모셔져 있다. 조선 중기의 목조 건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윗부분에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 자 모양을 하고 있는 전형적인 다포 맞배집이다. 처음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기록이 새겨진 기와를 보면 광해군 5년(1613) 묘전 화상이 지었고,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숙종 6년(1680) 조헌 스님이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부산 범어사, 2025년)

<출처>

  1. 안내문, 부산 범어사, 2025년
  2. ‘보물 범어사 대웅전’,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