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울진 봉평리신라비 전시관

경북 울진군 죽변면에 있는 <울진 봉평리신라비 전시관>이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삼국시대 비석인 ‘울진 봉평리신라비(국보)’를 전시하기 위해 세워진 전시관이다. 2011년 준공후 개관했다. ‘울진 봉평리신라비(국보)’ 실물을 전시하고 있는 제1전시실, 삼국시대 중요 비석의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는 제2전시실, 한국 금석학의 역사 등을 설명하고 있는 제3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야외에는 울진 지역 송덕비와 고인돌이 전시되어 있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

제1전시실에는 ‘울진 봉평리신라비’ 실물과 발견 경위, 비석에 기록된 내용 등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제1전시실>

 <울진 봉평리 신라비(국보)>는 삼국시대 신라 법흥왕 때(524년경)에 세운 석비이다. 비는 자연석을 그대로 사용했는데 사다리꼴 형태를 하고 있다. 한쪽 면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400자 정도이다. 내용은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체를 사용하여 파악이 어렵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짐작할 수 있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국보)>

글자는 전체 10행이며 글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아 각 행의 글자 수가 다르다. 글자 수가 가장 많은 행은 제6행으로서 46자이고, 제5행은 25자에 불과하다. 전체 글자 수는 398자이다. 서체는 예서에서 해서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것으로서 읽기 어려운 글자는 별로 많지 않다.

<비석 탁본>

제2전시실에는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주요 비석들의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제2전시실>
<전시된 비석>
<임신서기석(복제)>
<무령왕릉 지석(복제)>
<중원 고구려비(복제)>
<사택지적비(복제)>
<포항 냉수리신라비(복제)>
<영천 청제비(복제)>
<단양 신라 척경비(복제)>
<대구 무술명오작비(복제)>
<남산 신성비(복제)>

2층에 있는 제3전시실에는 한국 금석학에 대한 설명을 위한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제3전시실>

전시관 입구에는 울진 지역에 있던 송덕비들을 모아 놓고 있다.

<송덕비들>
<송덕비들>
<울진 나곡리 지석묘 1호>

<출처>

  1. 안내문, 울진 봉평신라비전시관,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