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봉화 한수정(보물)

경북 봉화군 춘양면 의양리에 있는 <봉화 한수정(보물)>이다. 정자 건물과 연못, 정원에 심어진 수목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정자로서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독특한 평면구성과 다양한 건축 구조, 공간 위계가 돋보이며, 역사적·학술적·예술적·건축적 가치가 크다. 안동권씨 가문이 3대에 걸쳐 창건한 정원으로, 기능에 맞는 최적의 입지와 관념적 의미를 담아 조성되었다.

<봉화 한수정(보물)>

한수정은 봉화군 춘양면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 상류 지천인 운곡천이 옆으로 흐르고 있으며 주위에는 작은 규모의 농지들이 있다. 본가인 봉화 닭실마을에서 동쪽의 16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한수정과 주변 숲>

정자 건물은 몸체 중간에서 앞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丁’형을 이루고 있다. 북쪽 몸체는 가운데 온돌방이, 양쪽에 마루가 배치되어 있다. 남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마루 2칸과 또 다른 온돌방이 있다. 북쪽 몸체의 바닥 높이는 돌출된 부분보다 약간 높게 설계되어 변화를 주고 있다.

<정자 건물>
<동쪽에서 본 모습>
<북쪽에서 본 모습>
<서쪽에서 본 모습>
<남쪽에서 본 모습>

정자는 세 면이 못(연못)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서쪽에는 ‘초연대’라는 높은 단으로 구성되었다. 연못가 주변에는 크고 작은 식물들이 심어져 있어 다양한 풍경을 만들어낸다.

<정자 동쪽 연못과 숲>
<북쪽 연못과 초연대>
<초연대를 감아서 도는 연못>
<초연대와 연못>
<초연대와 뒷편 정원>
<서쪽에서 본 모습>
<남쪽에서 본 정자와 연못?
<동쪽 운곡천 제방 위에서 본 모습>

봉화 한수정, 보물
조선 선조 41년(1608) 권래가 그의 조부인 충재 권벌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자이다. 권벌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한성판윤, 예조판서, 병조판서, 우찬성 및 원상 등을 지냈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동남향으로 위치한 T자형 평면의 건물은 중앙에 4칸의 대청을 두고 좌, 우 양측에 2칸 크기의 온돌방을 둔 구조로 와룡연이라는 연못이 정자의 3면을 둘러싸고 있고, 연못과 정자 사이에는 초연대라는 바위가 있다. 찬물과 같이 맑은 정신으로 공부하는 정자라 하여 ‘한수정’ 이라 이름 지었다고 하며, 독특한 평면구성과 건축 구조 및 연못과 조경 등으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 (안내문, 봉화군청, 2025년)

<출처>

  1. 안내문, 봉화군청, 2025년
  2. ‘보물 봉화 한수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