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리에 있는 <영주 순흥 벽화 고분(사적)>이다. 이 고분은 순흥 벽화 고분이라고 부르며, 구릉 윗쪽에는 또 다른 신라고분인 어숙묘가 있다. 외형은 둥근 봉분을 하고 있으며, 내부는 넓은 석실과 통로로 구성된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이다. 석실(현실)은 4각형으로 동.서 약3.5m, 남.북 약2m, 높이 약2m이다. 굵은 석재로 벽을 쌓고 그 위에 석회칠을 한 후 벽화를 그린 전형적인 고구려 석실고분 형태를 하고 있다. 석실 동쪽 벽면에는 새의 머리, 남쪽에는 사람과 글씨, 북쪽에는 산과 연꽃, 구름무늬가, 서쪽에는 나무와 집, 역사(力士)가 그려져 있다. 통로에도 그림이 그려져 있었는데 서쪽에 뱀을 손에 잡고 있는 사람, 동쪽에는 눈을 부릅 뜬 힘센 사람이 그려져 있다. 이 무덤의 그림들은 삼국시대 회화는 물론 당시의 종교관·내세관, 고구려와의 문화교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풍기읍에서 부석사와 도산서원으로 연결되는 도로 옆 벽화고분의 그림(모조품)을 볼 수 있는 모형전시관이 있고 200m 정도 떨어진 뒷동산에 고분이 자리잡고 있다.







영주 순흥 벽화 고분, 사적
영주 순흥 벽화 고분은 삼국 시대 벽화 고분으로, 널방과 출입문, 널방과 바깥을 연결하는 널길2로 이루어진 굴식 돌방무덤이다. 돌방을 덮은 봉분은 흙을 둥글게 쌓아 만들었고, 봉분 둘레에는 봉분을 보호하는 호석3)을 돌렸다. 널방 벽은 안으로 경사지게 쌓아서 천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좁아진 벽 위에는 2개의 판판한 돌을 놓아 천장을 만들었다. 널방의 네 벽면은 석회를 발랐고, 널방 바닥에는 시신을 모셔 두는 주검받침을 설치하였다. 주검받침은 깬 돌을 쌓아 만들었는데, 윗면과 서쪽 면에는 석회를 두껍게 발랐다. 그림은 천장을 제외한 널방의 네 벽면, 널길 좌우 벽면, 시상대를 옆면에 그려져 있다. 먹선만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먹선으로 윤곽을 잡은 다음 그 안에 붉은색, 노란색 등으로 색칠을 하여 그렸다. 동쪽 벽에는 새의 머리, 남쪽 벽에는 사람과 글씨, 북쪽 벽에는 3개의 산, 연꽃, 구름무늬, 서쪽 벽에는 나무, 집, 수문장으로 보이는 힘이 센 사람을 그렸다. 순흥 벽화 고분은 도굴되었기 때문에 무덤의 연대를 알려 주는 유물이 출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기미중묘상인명己未中墓像人名” 이라는 글씨를 통해 479년 또는 539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벽화 고분에는 많은 그림이 남아 있어, 삼국 시대의 회화, 종교관, 내세관, 고구려와 신라의 문화 교류 등을 알려 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안내문, 영주시청, 2025년)
고분 벽화의 내용이나 필지 등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닮아 고구려 고분으로 볼 수도 있지만, 근처에 있는 고분인 어숙묘에서 무덤주인이 신라관등을 쓰고 있는 것으로 볼 때 6세기말에 조성된 신라 고분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영남지역에서 중부지역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관문인 죽령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때부터 진흥왕의 영토 확장 기간 동안 신라와 고구려가 여러 곳에서 충돌하였던 지역으로 당시 신라와 고구려와의 문화교류를 보여주는 유적이라 할 수 있다. 서쪽벽에는 뱀을 손에 감고 있는 남자의 모습이, 동쪽벽에는 힘 센 사람이 그려진 벽화가 있다.고분 내부는 모형 전시관에서 살펴볼 수 있다.




굵은 석재로 벽을 쌓고 그 위에 회칠을 한 후 벽화를 그린 전형적인 고구려 석실고분의 형태를 하고 있다. 벽에서 천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천장은 2장의 돌이 나란히 덮혀 있다. 천장을 제외한 모든 벽면에는 채색화가 그려져 있다.







순흥은 삼국시대 고구려·백제·신라의 접경지로 군사적 요충지였다. 이 지역에는 5~6세기 짧은 시기에 조성된 1,000기 이상의 고분이 분포하며, 밀집도가 높다. 1971년 어숙묘 발굴을 시작으로 벽화 고분과 대형 돌방무덤, 금동관, 독무덤 등이 조사되었고, 최근에는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고분군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순흥에 강력한 세력과 독자적 문화를 가진 정치체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 안내문, 영주시청, 2025년
- ‘사적 영주 순흥 벽화고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