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순천 낙안읍성(사적), 왜구 침입을 대비하여 쌓은 대표적인 조선시대 읍성

전남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낙안읍성(사적)이다. 조선시대 옛 낙안관 읍치를 둘러싸고 전형적인 읍성이다. 고려말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쌓았던 읍성 중 하나로 처음에는 흙으로 성벽을 쌓은 토성이었으나, 세종대 이후 돌로 다시 쌓았다. 동서를 가로지르는 큰 길을 중심으로 북쪽에 관아와 부속 건물들이, 남쪽에 향리계층을 비롯하여 읍치에서 터를 잡고 살았던 사람들의 가옥들이 배치되어 있다.  읍성의 규모가 크지 않은 편이며, 객사를 비롯한 관아건물들과 민가들이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다.

낙안읍성은 돌로 쌓은 석성으로 성의 둘레 1,410 m이며, 동서로 직선 거리 약 500 m, 남북으로 약 400 m 정도이다. 동.서.남문을 두고 있으며, 성문 앞에는 적의 공격을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옹성을 두고 있다. 성벽 바깥쪽에는 해자를 두고 있으며, 동문 양쪽에 2개씩 돌출된 방어시설인 치성을 두고 있고, 남문 서쪽편 언덕이 장대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읍성내에는 비상시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큰 우물과 연못을 두고 있다. 성문 주위를 제외하고는 성벽 위에 조총공격에 대비한 여장을 두지 않는 등 조선전기 읍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낙안읍성 동문과 문루인 낙풍루>

목조건축물인 문루를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는 개거식 성문이다. 성문 앞에 옹성을 쌓아 개거식 성문의 취약점을 보완하고 있다.

<낙안읍성 배치도>

전체적으로 서남쪽을 향하고 있으며, 성문으로는 동.서.남문을 두고 있다. 동문 좌.우와 모퉁이에 바깥으로 돌출된 치성 4곳을 두고 있다.남문 서쪽에 약간 높은 언덕이 있는데 전투를 지휘하는 장대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서문을 나서면 송광사와 선암사가 있는 조계산으로 연결되는 길이 있다.

<낙안읍성 동문 옆 성벽.>

성벽은 커다란 돌을 잘 다듬어 석축을 쌓은 석성이다. 성문 주위를 제외하고는 조총 공격에 대비한 방어시설인 여장을 두고 있지 않다.

<성벽 바깥>

성벽 앞쪽에는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물이 흐를 수 있는 해자를 파서 방어력을 보완하고 있다.

<동문 앞 해자를 건너는 돌다리>

<성문 안쪽에서 본 낙풍루>

<낙풍루 내부>

낙안읍성 동문에서 서문으로 연결되는 큰길 북쪽으로 관아 등이, 남쪽으로 민가들이 배치되어 있다.

<낙풍루에서 내려다 본 모습>

<동문 남쪽편 성벽과 치성>

성벽 위에 방어시설인 여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조선전기 읍성의 특징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성문 옆에는 깃발을 세워둔 여장을 볼 수 있다.

<동문 북쪽편 성벽>

<동문 북쪽편에 있는 바깥으로 돌출된 방어시설인 치성>

<치성에서 보이는 동문과 주위 성벽>

성벽 앞으로 해자를 파 놓았으며, 성문 앞에는 옹성을 두고 방어력을 보완하고 있다. 성벽과 해자 사이에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초가집이 있다. 낙안읍성은 동문 방향이 왜구의 예상 침입로인 벌교 방향과 연결되기 때문에 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동문 주위에만 4곳의 치성을 두고 있다.

<읍성 북동쪽 모서리에 있는 치성>

<낙안읍성 북쪽 성벽>

<성벽 바깥>

관아 뒷편으로 성문을 두고 있지 않다. 성벽 바깥으로는 군사훈련을 하기 위해 조성해 놓은 넓은 공간이 있다. 동문 주위와는 달리 해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 안쪽에서도 돌로 쌓은 견고한 석축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안쪽에서 본 성벽>

<성벽을 오르는 계단>

<북쪽 성벽 바깥>

북쪽 성벽 바깥으로 순천 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가 있다.

<북쪽 성벽에서 내려다 보이는 관아 건물인 객사>

<낙안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관아 뒷편 성벽>

<동헌 뒷편을 지나 서문으로 연결되는 성벽길>

멀리 장대로 사용되었던 언덕이 보인다. 서문은 원래 그랬는지 알 수 없지만 문루를 두고 있지는 않다. 방어시설로 성문 앞에 옹성을 두고 있다.

<낙안읍성 서문>

<서문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성벽>

<서문에서 장대역할을 했던 서남쪽 언덕으로 연결되는 성벽>

<읍성 내부에서 본 서문>

<서문 안쪽 성벽>

<언덕으로 오르는 성벽길>

<성벽 중 가장 높은 곳에서 위치한 언덕>

보통 이곳에 군사를 지휘하는 장대를 두는데 낙안읍성에는 장대를 별도로 두고 있지 않다.

<언덕에서 남문으로 이어지는 성벽길>

양쪽으로 낙안읍성에서 터를 잡고 살았던 사람들의 민가들이 보인다. 낙안읍성을 대표하는 명장면이다.

<아래쪽 성벽에서 보이는 언덕>

<낙안읍성 남문과 문루인 쌍청루>

전형적인 개거식 성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앞쪽에는 상당히 견고한 옹성을 쌓았다.>

<남문 문루인 쌍청루>

<성문의 방어력을 보완하기 위해 성문 앞에 쌓은 옹성>

<남문 앞쪽으로는 낙안벌 넓은 평야>

<치성에서 보이는 성밖 마을과 장대역할을 했던 언덕>

<동쪽으로 이어지는 성벽길>

<동남쪽 모서리로 이어지는 성벽길>

<바깥쪽에서 본 남쪽 성벽>

<안쪽에서 본 남쪽 성벽>

<연못>

남쪽 성벽 안쪽으로는 비상시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 조성해 놓은 연못과 우물이 있다.

<연못 한쪽편에 있는 우물>

<읍성 바깥으로 물길을 연결시켜주는 작은 수문>

낙안읍성, 사적, 전남 순천시 낙안면 동.서.남대리
낙안읍성은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읍성들 가운데 원형이 가장 잘 보존 된 곳으로 특히 성 안에는 전통적인 가옥들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 읍성은 고려 후기에 왜구의 잦은 침입이 있어 조선 태조 6년(1397)에 흙으로 쌓았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6년(1424)부터 여러 해에 걸쳐 돌로 다시 쌓아 성의 규모를 넓혔다고 한다. 읍성 전체 모양은 장방형이며 길이는 1,410 m이다. 동.서.남쪽 3곳에는 성 안의 큰 도로와 서로 연결된 문이 있고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4군데의 치성이 성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성 안에는 90여 가구의 민가들이 있는데, 보통 1가구당 2~3채의 초가집과 마당, 텃밭으로 구성되었다. 초가집들은 3칸 정도의 일자형 안채와 아래채, 그리고 농기구 등을 보관하거나 외양간으로 겸용하는 헛간채와 재래변소로 이용하는 잿간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대화 물결에 따라 전통적인 마을의 모습이 변형되기 시작하였고, 성의 일부가 점진적으로 붕괴 소실됨에 따라 1983년 사적 제302호로 지정하고 읍성의 종합적인 보존사업을 시작하였다. 특히 백성들이 살던 초가집들 가운데 보존가치가 가장 높은 9동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하였고, 일부 변형되었거나 낡은 집들은 복원.수리하였다. 관청터에서는 관아와 객사 주변의 담장.월대.삼문 등을 발굴.복원하고 성곽과 문루 등을 복원하였다. 여러 성씨가 모여 사는 이 마을 중앙에는 선정을 베풀었던 군수 임경업(1594~1646)의 선정비가 있고, 600여년 이상된 노거수 은행나무가 마을을 수호한다고 믿고 매년 추모.당제를 지내고 있다. 동문 밖 1 km거리에는 낙안향교가 있어 예전에는 이 지역 선비들을 양성하였으나, 지금은 당시의 풍속과 생활문화를 전하고 있다. (안내문, 순천시청, 2012년)

  1. 안내문, 순천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