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파라오와 이집트의 신들

파라오(Pharaoh)는 고대 이집트에서 최고통치자인 왕을 의미한다. 본래는 이집트에서 왕이 사는 성스러운 장소를 칭하는 말이었으나 점차 왕을 칭하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이집트에서 파라오는 오시리스신화 호루스의 현신으로 받아들여졌다. 오시리스는 사후세계를 다스리는 신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동생 세트에게 죽임을 당한 후 여신 이시스와 동생 네프티스의 도움으로 부활하였다. 오시리스와 이시스 사이에 태어난 신 호루스는 현세를 다스리는 신으로 여겨지며 파라오를 상징하고 있다.  이런 구도는 기독교, 불교 둥 후대 종교와 절대왕조에서 받아들여졌으며 세계사와 인류의 정신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친 부분이다.

<람세스 2세, 아비도스 람세스 2세 신전, 신왕국 제19왕조 람세스 2세 치하 기원전 약 1279~1213년, 석회암 안료>

이집트의 가장 유명한 파라오였던 람세스 2세의 아비도스 신전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부조는 팡르 들고 있는 람세스 2세를 표현한 것으로 그가 신들에게 예배드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파라오는 이집트를 관장하는 많은 신과 관계를 잘 유지할 책임이 있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왕이 신에세 바치는 선물의 대가로 신이 이집트를 보호한다고 믿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장군이자 이집트 총독이었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가 세운 헬레니즘 왕국이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스스로 파라오라 칭하고 그리스와 이집트 문화가 융합된 헬레니즘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집트의 헬레니즘은 이슬람에 정복되기 전까지 크게 번창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왕(프톨레마이오스 6세로 추정),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기원전 약 186 ~ 145년, 석회석 안료>

머리만 남아 있는 이 상은 이집트인들이 네메스(Nemes)라고 부르는 줄무늬 두건을 쓰고 있다. 지금은 분실되었지만, 머리 꼭대기에 보이는 손잡이 모양은 타조 깃털 형태의 금속 장식의 아랫부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집트 성각문자에서 ‘정의’를 뜻하는 단어가 타조 깃털 모양이며, 이와 같은 부착물은 왕과 정의의 관계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상징이었다. 왕은 모든 이집트인들에게 정의를 보장할 책임이 있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왕의 머리(프톨레마이오스 12세로 추정), 테베,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기원전 약 80~58, 55~51년, 석회석>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두 왕관을 함께 쓴 머리조각상이다. 하이집트를 상징하는 붉은색 왕관 위에 상이집트를 상징하는 길쭉한 흰색 원형 왕관이 결합된 모양이다. 이 중 왕관을 쓰고 있는 왕의 모습은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를 모두 통치하는 왕임을 상징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여왕 또는 여신이 새겨진 장식판, 나일 델타 지역,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프롵레마이오스 9세 치하추정, 기원전 116 ~ 107년, 금 도금한 은판에 돋을새김>

여왕과 여신의 이미지는 너무 비슷하기 때문에 명문이 없다면, 누가 누구인지 구별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 여성은 독수리 낱개모야으이 관이 귀 뒤쪽까지 이어지는 독수리 왕관을 쓰고 있고 드레스에도 깃털 표현의 흔적이 있다. 독수리는 ‘왕의 어머니’러 불리는 네크베크 여신을 상징하며 이집트 상형문자에서는 ‘어머니’를 상징한다. 여인의 의상에도 독수리의 상징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이 장식판은 정교한 상자에 부착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큰 칼, 텔 마아마르나 군사지구 출토, 신왕국 제18왕조 아마르나 시기 기원전 약 1352~1336년, 청동>

고대 이집트인들은 돌과 청동으로 도구와 무기를 만들었다. 최초의 도구는 석회암층에서 발견되는 규질암으로 만었다. 선앙조시대에 이집트인들은 구리와 비소를 섞어 청동을 만들었다. 두 재료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세티1세의 경계비, 콤 알루피, 신왕국 제19왕조 세티1세 1년 기원전 약 1294년, 석회암>

비석에 쓰인 글에 따르면 세티 1세는 즉위 첫 해에 토지 두 구역의 측량을 명령했다. 이 석비는 두 영역이 나누어지는 경계에 세워졌다. 왕은 관청을 운영하고 백성이 먹고사는데 문제가 없도록 토지를 분배하고 관장했다. 세금 징수원과 농부는 들판에 세워진 석비를 통해 토지에 대한 왕의 규정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일반 백성이 왕의 힘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사례이다. 비석에 새겨진 왕은 투구 모양의 왕관을 쓰고 있는데, 이것은 왕이 직접 나서서 바쁘게 행동한다는 것을 뜻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신의 아들, 파라오
파라오는 이집트를 통치하는 왕으로 신의 아들이자 대리자인 절대적 존재였다. 왕은 호루스 신이 인간의 몸으로 태어난 고귀한 신분이며, 동시에 오시리스의 아들이자 태양신 ‘레(Re)’의 아들이기도 했다. 또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 모두의 왕이었는데, 각각의 정부는 독립적이었으나 한 사람이 통치하는 구조였다. 왕은 신들과의 관계를 통해 현세와 내세에서 이집트를 보호해야 했다. 강력한 권력을 가진 여왕도 존재했는데, 이시스.하토르 여신의 현신으로 여겨지곤 했다. 이집트는 대단히 견고한 계층 사회였다. 왕족과 귀족 외에도 관료, 군인, 성직자, 장인, 농부들이 있었다. 계층 사다리 맨 밑에 노예가 있는 시대도 있었다. 사회의 모든 계층은 무덤이나 묘에서 출토되는 여러 종류의 부장품에 반영되었다. 특히 고고학 기록에 가장 자주 보이는 계층은 교육받은 엘리트인 관료와 사제, 장인이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자연과 사회의 관점에서 많은 신들을 믿었다. 이집트 신화체계는 매우 복잡해서 어떤 신들은 많은 다른 모습으로 표현되었으며, 그 역할도 다양했다. 고대 이집트 초기에는 신들을 숭배했던 도시들과 엮어 있었는데 점차 그 관계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집트인들은 둘 이상의 신을 합해 새로운 신을 만들기도 했다. 이집트인들은 처음에는 동물 이미지로 신을 표현했든대 점차로 신은 인간의 남성이나 여성의 형태로 재현되었으며 그 이후 사람의 몸에 동물의 머리를 한 형태가 나타났다.

<1. 아피스 황소(Apis bull), 후기왕조시대 제26~30왕조 또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기원전 약664~30년, 청동>

고대 도시 멤피스의 아피스 황소 숭배는 이집트에서 가장 유서가 깊다. 아피스 황소는 프타(Ptah) 신의 현신이었다. 일반인들은 이런 조각상 같은 봉헌물을 바치면서 자신과 가족의 안녕을 빌었다.(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2. 소베크(Sobek), 후기왕조시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제26왕조 이후 기원전 664~30년, 청동>
<3. 네이트(Neith), 후기 왕조 시대 제26~30왕조 기원전 약 664~332년, 석판>
<4. 셰셍크왕의 스핑크스(Sphinx of King Sheshenq), 제3중간기 제22~23왕조, 기원전 약 945~718년, 청동>
<5. 뱀관(Snake Coffin), 후기왕조 시대 제26~30왕조 기원전 약 664~332년, 청동 납>
<6. 개코원송이, 후기왕조시대 제26왕조 이후 기원전 664~332년, 청동>
<7. 류트를 연주하는 베스(Bes with Lute), 후기왕조 시대 제26~30왕조 기원전 664~342년, 청동>
<8. 고양이, 후기왕조 시대 시대 제26~30왕조 기원전 664~342년, 청동, 속이 빈 주형>
<9. 숫양 머리 기둥 장식, 덴데라, 후기왕조시대 제26~30왕조 기원전 945~656년, 검은색 화강암 붉은색 물감 흔적>
<고양이,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 로마시대, 기원전 305 ~ 기원후 100년, 나무. 금박을 입힌 석고. 청동. 수정. 유리>

고양이는 여신 바스테트를 상징한다. 바스테트는 태양신 레의 딸이며 하이집트를 수호하는 신이다. 속이 꽉 찬 이 나무 조각상은 바스테트 신전에 바치던 공물이었다. 고양이 양쪽 귀 사이에는 아침에 떠오른 태양을 상징하는 스카라브가 박혀 있는데, 이것은 고양이 털의 줄무늬를 예술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오시리스(Osiris), 아비도스, 후기왕조 시대 제26왕조 기원전 약 664~525년 혹은 그 이후, 청동.금박>

이 조각상은 죽은 자들의 땅을 다스리는 오시리스이다. 오시리스는 왕의 표식인 굽은 지팡이와 도리깨를 쥐고 있는 미라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 상은 신에게 복을 기원하는 사람들이 바친 것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앉아 있는 와제트(Seated Wadjet), 후기왕조 시대 제26~31왕조 기원전 약664~332년, 청동>

와제트는 코브라의 모습으로 표현되다가 후기 시대에 와서 사자 머리를 한 여성으로 자주 묘사되었다. 태양신 레(Re)의 딸 중 한 명을 재현한 이 커다란 청동상은 이집트 몽구스의 미라를 보관하는 용도로 쓰였다. 뱀을 죽일 수 있는 몽구스는 뱀의 공격에 매일 분투하는 태양신의 신화를 떠올리게 한다. 와제트와 마찬가지로 몽구스 역시 태양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따오기의 관(Ibis Coffin), 투나 엘게벨 추정,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기원전 305~30년, 이후 일부 추가 제작, 나무.은.금.수정>

따오기(Ibis)는 달, 지혜, 글의 신으로 알려진 토트(Thoth)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후기 시대에 이르러 토트는 아문을 대신해 신전에서 최고신으로 추앙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는 지혜, 문자, 과학, 마법, 예술, 그리고 죽은 자들의 심판을 관장했다. 이 따오기 관은 토트신의 동물 형상 중 하나를 재현한 것이다. 정교하게 도금된 이 관 안에는 따오기 미라가 담겨 있다. 수정에 금 테두리를 돌린 눈, 도금된 몸체, 그리고 은으로 된 다리와 발 부분의 섬세한 묘사로 인해 이 관은 예술성이 뛰어난 동물 관으로 꼽힌다. 따오기의 관처럼 특정 신을 상징하는 동물 미라는 신에 대한 봉헌물이 되었고 후기왕조 시대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는 이집트 전역에 수십만 구의 동물 미라가 묻혔다. 이런 유형의 관은 대부분 머리와 발이 청동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다양한 신
이집트인들은 세상에 초자연적인 힘이 가득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힘 중 하나를 ‘네체르(Netjer)’라고 불렀는데, ‘신’이란 뜻이다. 한 마을만을 보호하는 지역신도 있었고 매일 태양을 떠오르게 하는 것처럼 우주 전체를 관장하는 신도 있었다. 이집트인들은 둘 이상의 신을 합해 새로운 신을 만들기도 했다. 그 예로 상이집트 신들의 왕인 ‘아문(Amun)’이 하집트의 태양신인 ‘레(Re)’와 결합해 국가와 우주 전체를 지배하는 새로운 신 ‘아문-레(Amun-Re)’가 탄생했다. 이집트인들은 처음에 동물 이미지로 신을 표현했다. 신을 표현한 동물 조각상들은 기원전 3100년 이전의 선왕조 시대부터 만들어졌다. 기원전 3100년 이후 제1왕조 즈음이 되자 신은 남성이나 여성의 인간 형태로 재현되었다. 그리고 기원전 2675년 이후 제2왕조 후기에 이르러 신은 남성 혹은 여성의 몸에 동물의 머리를 한 형태를 띠게 되었다. 이 세가지 형태의 신은 제2왕조부터 이집트의 다신교가 기독교로 대체되는 기원후 4세기까지 계속 숭배되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이집트 신의 계보>

신화의 세계
고대 이집트인의 세계관은 오시리스와 이시스 신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들의 부모는 창조신인 아툼의 자녀 게브와 누트이다. 이들은 네명의 아이를 낳았는데 바로 오시리스, 이시스, 세트, 네프티스였다. 이들은 서로 결혼하여 짝이 되었다. 왕과 왕비가 된 오시리스와 부인 이시스는 백성들로부터 큰 사랑을 받았다. 그런데 이런 오시리스를 질투한 남동생 세트가 왕을 살해할 계획을 세운다. 세트는 왕의 몸 치수를 잰 뒤, 그의 몸에 맞게 특별 제작한 인간 모양의 상자를 주문했다. 이것이 이집트 관의 시초가 되었다. 준비가 끝나자 왕을 연회에 초대한 뒤 유인해 가두고 상자를 나일강에 던져 익사시켰다. 세트는 왕위에 올랐다. 이시스는 오시리스의 시신을 찾아 그를 마법으로 잠시 살려 낸 뒤 아들인 호루스를 잉태했다. 이시스는 여동생 네프티스의 도움을 받아 호루스를 이승에서 몰래 키웠다. 이후 호루스는 삼촌인 세트를 무찌르고 왕이된다. 이시스는 오시리스가 죽어서도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신전을 지었는데, 이것이 무덤의 효시다. 이후 오시리스는 지하 세계의 왕이 되어 죽은 자들의 삶을 심판하게 되었다. 이집트인은 죽은 뒤에도 편안하게 살기 위해 오시리스를 숭배하였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2.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2017년
  3. 위키백과,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