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감산사 절터에 있었던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이다. 통일신라 성덕왕 때(719년)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위해 조성한 불상이다. 머리에 보관을 쓰고, 목에는 2줄의 화려한 목걸이가 새겨져 있는 등 화려한 장신구로 장식한 미륵보살의 형상을 잘 표현하고 있다. 신체의 비례는 인체의 비례와 비슷하게 사실적이며, 각 비례에서 주는 전체적인 조형미도 뛰어난 편이다. 광배 뒷면에 불상을 조성한 내력에 대해서 기록해 놓고 있다.
<감산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甘山寺 石彫 彌勒菩薩 立像), 통일신라 719년 무렵, 경북 경주 감산사터 출토, 국보>
<왼쪽에서 본 모습>
보관을 비롯하여 화려한 장신구들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섬세하며 상당히 뛰어나다. 광배(光背)는 불꽃무늬가 새겨진 배 모양이며, 3줄의 도드라진 선으로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구분하였다.
<보관을 쓰고 있는 얼굴부분>
대좌(臺座)는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맨 아래가 8각이고, 그 위에는 연꽃무늬를 간략하고 큼직하게 새기고 있다.
<연화대좌>
<감산사 미륵보살입상(국보), 아미타여래입상(국보)>
감산사 미륵보살.아미타불,
두 불상은 경주의 감산사(甘山寺) 터에서 옮겨온 것으로 광배 뒷면에는 이 불상을 만든 사람, 만든 목적 등이 자세하게 새겨져 있다. 명문에 따르면, 이 불상들은 집사부시랑(執事部侍郞) 김지성이 부모의 은혜와 임금의 언덕에 보답하고자 성덕왕 18년(719)에 만들기 시작한 아미타불과 미륵보살이다. 불상을 만들던 도중 성덕왕 19년(720)에 김지성이 죽자 김지성의 명복을 비는 내용도 아미타불 광배 뒷면에 함께 새겨졌다. 미륵보살은 온화한 표정과 허리를 약간 비튼 자세를 보이며, 이미타불은 엄숙한 표정으로 곧게 선 자세를 하고 있다. 통일신라 8세기 전반 석조 조각의 수준을 잘 보여 주는 빼어난 작품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미륵보살에 새겨진 글
개원 7년 기미년(719년) 2월 15일 중아찬 김지성이 돌아가신 아버지 인장 일길찬과 돌아가신 어머니 관초리 부인을 위하여 감산사와 석조아미타상 1구와 석조미륵상 1구를 삼가 만듭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감산사(甘山寺)는 불국사와 신라 원성왕릉(괘릉)에서 멀지 않은 마을 뒷편에 남아 있는 옛 절터이다. 통일신라 성덕왕 때(719년)에 김지성이 부모의 명복을 위해 창건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현재 절터에는 석조비로자불상을 모신 대적광전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불전들이 들어서 있으며, 뒷편에 통일신라 때 조성된 삼층석탑과 주변 공터만이 옛절터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일제강점기 이곳에서 출토된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은 현재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불상에 적힌 기록 외 감산사 내력에 대해서는 전해지지 않는다
<경주 감산사 절터>
<출처>
-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2년
- ‘국보 경주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