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의성군 단촌면 등운산 고운사에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8세기 불좌상을 모델하여 조성된 지방양식의 불상이다. 대좌와 광배를 제대로 갖추고 있으며 손상이 거의 없이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얼굴에 눈.코.입을 작게 표현했으며 허리가 작고 약간 치켜 올라간 어꺠로 불안전상 자세를 하고 있다. 광배는 배모양을 하고 있는데 연꽃과 덩굴무늬,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 대좌 중대석이 8각형 기둥모양으로 장색했으며 상.하대석은 연꽃모양을 하고 있다. 전형적인 9세기 불상으로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보물)과 함께 경주와는 다른 지역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고운사 약사전에 모셔져 있다.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보물)>
<반대편에서 본 모습>
<약사전 내부>
<고운사 약사전>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보물
고운사 석조여래좌상은 약사전 안에 모셔져 있는 불상이다. 광배와 받침대는 온전히 남아 있고, 불상도 오른손 등 일부를 빼고는 부서진 곳이 거의 없다. 불상의 머리에는 꼬불꼬불한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인 나발을 붙여 놓았으며 육계는 낮고 편평하여 분명하지 않다. 불상의 옷은 오르ㅉ쪽 어깨를 드러내고 있으며, 왼쪽 겨드랑이 밑에서 오른쪽 옆구리까지 옷 주름을 같은 간격의 선으로 표현하였다. 불상 뒤쪽의 광배는 끝이 날카로운 배 모양이다. 머리 고아배와 몸 광배에는 연꽃과 덩굴무늬 등을 표현하였고, 가장자리에는 불꽃이 타오르는 모양을 표현하였다. 받침대 중 윗받침석은 연꽃을 위로 떠 받드는 모양으로, 가둔데 받침석은 팔각으로 모서리를 기둥모양으로 장식하였다. 아래 받침석은 연꽃잎을 엎어 놓은 모양이다. 광배가 불상보다 더 섬세하고 화려하게 표현된 고운사 석조 여래 좌상은 통일신라 시대 9세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안내문, 의성 고운사, 2023년)
<출처>
- 안내문, 의성 고운사, 2023년
- ‘보물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