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려시대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 웅장한 표현이 돋보이는 거북받침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 탑비(보물)이다. 고려초 활동했던 원종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원진 탑비이다. 절터에는 글자가 기록된 비몸은 없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거북받침돌의 머리는 눈을 부릅뜨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험상궂으며, 땅을 딛고 일어서려는 다리와 땅을 누르는 발톱 등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치는 표현이 돋보인다. 머릿돌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생동감있게 조각해 놓았다. 통일신라 조각…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보물), 고려초 활동했던 승려 찬유의 승탑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탑(보물)이다. 고려초 승려 원종대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든 것으로 보인다. 3단으로 만든 기단 위에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높이 2.5 m로 그 규모가 크고 웅장하다. 기단 아래받침돌은 네모난 형태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가운데 받침돌은 8각형 평면에 거북을 중심으로 네마리의 용이 다투고 있는…

  •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고려초를 대표하는 승탑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절터에 남아 있는 고달사지 승탑(국보)이다. 이 승탑은 높이 3.4 m이며 8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3단의 기단, 탑신, 머리장식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승탑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기단부 가운데 돌에 화려한 큰 거북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생동감이 넘치며, 거북 주위에 4마리의 용과 구름무늬를 새겨 놓았다. 탑신부 몸돌에는 문짝모양과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는데 기단부에 비해 얕게 조각해 놓았다. 지붕돌은…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에 있는 원증국사탑비(보물)이다. 승탑과는 달리 대웅전 뒷편에 세워져 있다.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과 머리돌을 세운 전형적인 탑비의 형태를 하고 있다. 통일신라나 고려초에 조성된 다른 비석과는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의 표현이 사실적이지 않고 조각수법도 많은 떨어진다. 고려말 불교에 큰 영향력을 미쳤던 원증국사의 탑비라는 점과 당대 문장가이자 유학자인 이색이 글을 짓고, 명필이었던 권주가 글씨를 썼기때문에 높은 평가를…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보물), 고려말 공민왕 왕사였던 보우의 승탑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에 있는 원증국사탑(보물)이다. 북한산 봉우리와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태고사 뒷편 전망좋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다. 탑은 높이 4 m이며, 3단으로 된 기단 위에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렸다. 기단은 기둥모양과 연꽃무늬가 새겨진 아래받침돌 위에 꽃무늬가 새겨진 8각의 가운데 받침돌, 원형에 가까운 윗받침돌로 구성되어 있다. 탑신의 몸돌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위에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올렸다. 원증국사(圓證國師)는…

  •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전남 화순군 운주사 골짜기 서쪽 언덕에 위치한 와형석조여래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흔치 않은 와불(臥佛)로 2기의 불상이 머리를 남쪽으로 하고 누워있다. 크기는 12.7 m 와 10.3 m로 석조불상 중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불상이다. 불상의 표현이 투박하고 추상적이며,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천불천탑이 세워진 운주사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불상으로 운주사 전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운주사(雲住寺)는 도선국사가…

  •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전남 화순군 운주사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이다. 운주사 대웅전 뒷편 불사바위가 있는 언덕 아래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상이다. 높이 5.16m의 거대불상이자 운주사에 남아 있는 많은 불상 중 유일하게 바위에 새겼다. 불상은 눈썹과 코는 양각으로, 나무지 부분은 대부분 음각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투박하고 거친 편이다. 운주사(雲住寺)는 도선국사가 하룻밤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는 사찰로 창건 연대나 내력에 대해서는 크게…

  • 화순 운주사 광배석불좌상, 광배가 표현되어 있는 불상

    전남 화순군 운주사 경내에 있는 광배석불좌상이다. 운주사 중심영역인 석조불감(보물) 앞쪽에 세워져 있는 불상이다. 넓은 판석에 불상을 조각했다. 표현이 투박하고 조각수법이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원만한 느낌을 준다. 광배가 표현되어 있는 많지 않은 불상 중 하나이다. 운주사(雲住寺)는 도선국사가 하룻밤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는 사찰로 창건 연대나 내력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진 것이 없다. 고려 중기부터 고려말까지 지역에서…

  •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전남 화순군 운주사 서쪽편 언덕 칠성바위에 세워져 있는 칠층석탑이다. 높이 7 m 로 비교적 큰 규모이다. 자연 바위를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7층 탑신을 올렸다. 탑신 몸돌에는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으며, 지붕돌은 평평한 편이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안정감이나 세부 조각수법 등이 떨어지는 편이다. 운주사(雲住寺)는 도선국사가 하룻밤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는 사찰로 창건 연대나 내력에 대해서는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