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려시대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이다.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활동한 대경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비로 양평 보리사 절터에서 발견되어 경북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탑비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거북받침돌과 비몸, 머리돌로 이루어져 있다. 머릿돌에 새겨진 용무늬 장식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매우 힘차게 조각되어 있다. 거북받침돌은 비몸에 비해 작아 약간 불안정해…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보물)

    강원도 원주시 부론명 정산리 거돈사지(사적) 절터에 남아 있는 원공국사탑비(보물)이다. 거북받침돌, 비몸, 머릿돌로 구성된 전형적인 탑비의 형태를 하고 있다. 거북받침돌 머리는 험한 인상의 용의 얼굴을 하고 있다. 등에는 육각형 무늬로 거북등껍질을 표현하고 하고 있는데 그 안에 卍자와 연꽃무늬를 새겼다. 머릿돌에는 구름속에서 두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거북받침돌은 작고, 머릿돌은 크게 만들어 약간…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 고려초 법안종을 이끈 승려 지종의 승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보물)이다. 고려초 활동한 원공국사 지종(智宗)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거돈사지(사적) 절터에 있었던 것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집으로 옮겨 소장하던 것을 해방후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다시 중앙박물관으로 옮겼다. 높이는 2.68 m이며,바닥돌 없이 8각형 평면의 기단부와 탑신, 머리장식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승탑 형태를 하고 있다. 기단부는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가운데받침돌에는 팔부중상을…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보물), 당태종의 글씨를 모아서 새긴 집자비석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흥법사 절터에 남아 있는 진공대사탑비(보물)이다. 절터에는 비석을 받쳤던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고 비몸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거북받침돌은 짧은목에 비늘을 새긴 용의 얼굴을 하고 있으며, 거북 등에는 卍자와 연꽃무늬가 겨져 있다. 머릿돌에는 구름무늬속에 얽혀있는 두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전서체로 ‘진공대사’라고 적혀 있다. 조각수법이 세밀하면서 빼어난 작품으로 통일신라 탑비에 비해 발전된 모습을…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

    서울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중인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보물)이다. 승탑은 8각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기단부 아래.위받침돌에는 연꽃을 새겼고, 북모양을 하고 있는 가운데 몸돌에는 구름과 용이 뒤엉켜 있는 모습이 입체감있게 조각되었다. 탑신 몸돌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으며, 앞뒤에 자물쇠가 달린 문짝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밑면에 서까래, 기와골 등이 사실적으로 섬세하게 표현되었다. 석관에는 불교경전과 관련 유물들이 담겨 있었다고…

  •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 불상을 올렸던 석조대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중앙에 놓여 있는 거대한 석조대좌(보물)이다. 석탑은 없고 거대한 불상을 얹었던 석조대좌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볼 때 불상이 신앙의 중심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높이 1.54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대좌로 사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아래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 받침돌에는 큰 안상을 새겼으며, 아래받침돌 아래쪽에도 각면에 4개씩 작은 안상을 새겼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 웅장한 표현이 돋보이는 거북받침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 탑비(보물)이다. 고려초 활동했던 원종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원진 탑비이다. 절터에는 글자가 기록된 비몸은 없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거북받침돌의 머리는 눈을 부릅뜨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험상궂으며, 땅을 딛고 일어서려는 다리와 땅을 누르는 발톱 등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치는 표현이 돋보인다. 머릿돌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생동감있게 조각해 놓았다. 통일신라 조각…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보물), 고려초 활동했던 승려 찬유의 승탑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탑(보물)이다. 고려초 승려 원종대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고달이라는 석공이 만든 것으로 보인다. 3단으로 만든 기단 위에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높이 2.5 m로 그 규모가 크고 웅장하다. 기단 아래받침돌은 네모난 형태로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가운데 받침돌은 8각형 평면에 거북을 중심으로 네마리의 용이 다투고 있는…

  • 여주 고달사지 승탑(국보), 고려초를 대표하는 승탑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절터에 남아 있는 고달사지 승탑(국보)이다. 이 승탑은 높이 3.4 m이며 8각형 평면을 기본으로 3단의 기단, 탑신, 머리장식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승탑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기단부 가운데 돌에 화려한 큰 거북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생동감이 넘치며, 거북 주위에 4마리의 용과 구름무늬를 새겨 놓았다. 탑신부 몸돌에는 문짝모양과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는데 기단부에 비해 얕게 조각해 놓았다. 지붕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