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통일신라

  • 보령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삼층석탑이다. 보물로 지정된 다른 성주사지에 다른 석탑과는 달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 위에는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두고 있으며, 1층 몸돌에 문짝, 자물쇠, 문고리가 새겨져 있다.  절터내 다른 삼층석탑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원래 절터내 다른 곳에…

  • 보령 성주사지 서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서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탑에는 장식물을 달았던 흔적으로 보이는 구멍들이 많이 남아 있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가 있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중앙 삼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금당터 뒷편에 나란히 세워져 있는 3기의 삼층석탑 중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탑은 2층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과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위에 탑신 몸돌을 받치기 위한 괴임돌을 두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에는 감실 문짝이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는 자물쇠와 짐승얼굴 모양의 문고리, 못머리 모양을 새겨 놓았다.…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보물)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부와 5층 탑신, 그리고 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오층석탑이다. 기단 각면과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기단 위에 1층 몸돌을 받치는 괴임돌을 끼워두고 있는데 , 이는 고려석탑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식이다. 내부에 사리장치가 있었으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사리를 모시는 신앙의 대상이었던 이전의 석탑과는 달리 사찰 가람배치의 필요에…

  • 경주 천군동 동.서삼층석탑(보물), 보문단지 인근 마을에 남아 있는 석탑

    경북 경주시 천군동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통일신라 가람배치의 특징인 ‘두개의 탑’이 세워진 형태를 하고 있다. 마을 들판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39년에 복원하였다. 동탑은 기단과 탑신만 남아 있고, 서탑에는 머리돌 장식이 일부 남아 있다. 서탑은 높이가 7.7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석탑으로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와 탑신 몸돌에…

  •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보물), 진흥왕릉 부근에 있는 통일신라 모전석탑

    경북 경주시 서악동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흙을 구운 벽돌로 쌓은 전탑을 모방하여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서 쌓은 모전석탑이다. 모전석탑은 돌을 벽돌모양으로 가공하여 축조한 형식과 크게 가공한 돌을 쌓아서 석탑처럼 만든 형식이 있다. 이 석탑은 후자에 해당한다. 경주 남산동 동.서삼층석탑을 모방한 것으로 보이며, 세부적으로는 간략하게 표현하고 있다. 석탑 제작기술이 퇴보되는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8개의 잘 다듬은 화강석을…

  • 경주 장항리사지 서 오층석탑(국보), 토함산 동쪽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국보)이다. 절터에는 같은 모양의 오층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탑은 2층 기단위에 5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부를 넓고 낮게 만들어 안정감이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지붕돌은 귀퉁이가 치켜 올려져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1층 몸돌에는 도깨비모양의 쇠고리가 달린 문을 조각하고 양쪽에는 인왕상을…

  • 영양 산해리 모전오층석탑(국보), 모전석탑을 대표하는 탑

    경북 영양군 산해리 반변천 옆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모전석탑(국보)이다. 봉감모전오층석탑으로도 불렸던 이 석탑은 안동으로 흐르는 아름다운 강변에 홀로 서 있다. 높이 9m의 큰 석탑으로 흙과 돌을 섞어 낮게 쌓은 기단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렸다. 외형상으로는 전탑처럼 보이지만 작은 돌을 다듬어 벽돌처럼 쌓아올린 모전석탑이다. 1층 몸돌에는 불상을 모시는 감실을 두었는데, 화강석으로 만든 기둥과 이맛돌이 장식적인 효과를 주고…

  •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절제되면서도 비례가 뛰어난 통일신라 전성기 석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있는 김천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이다. 경북 김천시 남면 금오산 서쪽에 위치한 갈항사절터에 세워져 있던 2개의 탑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될 위기에 있던 것을 경복궁으로 옮겼지고, 최근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두개의 탑 모두 2층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동탑은 높이 4.3m이고 서탑은 4m이다. 기단부는 모서리와 각 면에는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