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국보
-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부조가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경현면 둔전리 진전사(陳田寺)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국보)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외형을 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 2층 몸돌에는 팔부중상을 탑신 1층 몸돌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기단부와 탑신의 비례가 안정감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면에 새겨진 조각상들의 조각수법이 세련되게 잘 만들어졌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부조상이…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 법천사 절터에 남아 있는 탑비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에 있는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국보)이다. 남한강변에서 멀지 않은 법천자시 옛 절터에 남아 있는 탑비로 고려중기에 활동한 지광국사를 기리기 위해 승탑과 함께 세워져 있던 탑비이다. 탑비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에 머릿돌을 올려 놓고 있다. 거북받침돌은 눈을 부릅뜬 용의 얼굴을 하고 있으며, 등껍질은 여러개의 사각형으로 면을 나눈 후 그 안에 왕(王)자를 새겨 놓고…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국보), 석탑처럼 보이는 특이한 형태의 승탑
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내 고궁박물관 마당에 전시되고 있는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이다. 이 탑은 고려시대 승려 지광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졌던 고승의 승탑 중에서도 그 형태가 특이하며 제작 수법이 뛰어난 걸작이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빼돌려졌다가 총독부에 의해서 서울로 다시 반환되었는데 원래 있던 원주 법천사지 절터로 옮겨지지 못하고 경복궁 경내에 전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복궁 고궁박물관…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경북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 경내에 있는 지증대사탑비(국보)이다. 봉암사를 세운 신라말의 고승 지증대사를 기리기 위해 승탑 옆에 세워진 탑비이다. 탑비의 머릿돌과 받침돌은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그 조각 역시 뛰어난 편이다. 받침돌은 머리가 용이고 몸은 거북모양으로 머리 위에는 뿔이 솟아 있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비문위에 올려진 머릿돌에는 연꽃무늬와 8마리 용이 얽힌 형태로 장식되어 있다. <문경…
-
경주 석굴암 석굴(국보), 대표적인 석굴사원이자 불교미술의 걸작
동해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토함산 동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석굴암 석굴(국보)이다. ‘석불사’라고 불린 이 석굴암은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년) 김대성이 불국사와 함께 건립한 것으로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세웠다고 전해진다. 석굴의 구조는 앞쪽은 전실은 사각형을, 본존불이 모셔진 주실은 원형을 하고 있다. 이는 동양의 천원지방(天圓地方,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주실에는 그 존재에 대해서 여러 의견이…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경북 경주시 구황동 낭산 북쪽 끝자락에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국보)이다. 높이 7.3m로 이층으로 쌓은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아 올렸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붕돌 밑면에 5단의 받침을 새겨놓고 있다. 통일신라 전기에 세워진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이나 고선사지 삼층석탑에 비해서 그 규모가 작아지고, 형태도 단순해졌다. 전체적인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의 우수하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
경주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국보), 감은사 절터에 남아 있는 2개의 탑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 감은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석탑(국보)이다. 문무왕이 세운 사천왕사 목탑과 함께 처음으로 2개의 탑을 세운 쌍탑 가람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목조건축물인 목탑을 간략하게 구성한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의 시초가 되는 석탑이다. 후대의 석탑에 비해 상당히 크고 웅장하여 ‘두개의 탑’이란 의미가 저절로 느껴진다. 현존하는 통일신라 삼층석탑 중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것으로 2개의 탑은 같은…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굴사원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단석산(斷石山, 해발 827 m) 중턱에 있는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이다. 7세기 초에 조성된 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굴사원이다. 거대한 자연암석이 ‘ㄷ’자형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인공적으로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굴 내부 바위에는 10구의 부처와 보살상이 새겨져 있다. 본존불인 미륵보살(여래입상)이 북쪽면에 새겨져 있으며, 동쪽에는 관음보살, 남쪽에는 지장보살을 새겨 삼존불을 이루고 있다. 지장보살이 새겨진…
-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국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석등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주불전인 각황전 앞에 세워진 석등(국보)이다. 이 석등은 높의 6.4m로 현존하는 석등 중 가장 큰 규모이다. 전체적으로 8각을 기본으로, 3단의 받침돌 위에 화사석, 지붕돌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은 전형적이 석등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래와 위받침돌은 8각형태로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고 있으며, 기둥은 장고모양의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도 8각을 하고 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