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사적
-
운현궁 노안당, 흥선대원군이 거처했던 구한말 정치의 중심지
구한말 역사와 정치의 중심지였던 흥선대원군의 거처였던 운현궁이다. 이곳은 고종이 태어나 12세까지 살았던 곳으로 고종이 즉위하면서 국왕이 살았던 사가(私家)인 잠저가 되면서 운현궁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운현(雲縣)은 창덕궁 정문 서쪽편 운현궁이 위치한 관상감 앞 고개를 가르키는 이름이다. 고종이 즉위하고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집정을 하면서 그 규모가 크게 확장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어다. 고종 즉위 이듬해인 1864년에 노락당(老樂堂)과 노안당(老安堂)이 지어졌으며,…
-
경주 황룡사지(사적), 9층목탑이 우뚝 솟아 있던 신라 최대 사찰
황룡사는 신라가 불교를 받아들인 이후 신라인이 신성시여겼던 7곳의 숲에 세워진 칠처가람 중의 하나로 궁궐이었더 동궁(임해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기록에 따르면 진흥왕이 21세가 되던해에 월성 동쪽에 궁궐을 지을려고 하다고 사찰로 고쳐지면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진평왕대에 금당을 비롯한 주요 건축물들과 금당에 모셔진 삼륙존상이 조성되었으며, 선덕여왕대에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온 자장의 건의로 9층목탑을 세웠으며, 이후에 종루와 경루가 세워졌다고 한다.…
-
경주 토함산 불국사(사적),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사찰
경주 불국사는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10년(774)에 완공한 사찰이다. 불국사가 처음 창건된 것은 법흥왕 때 였다고 한다. 그후 경덕왕 때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크게 중창하여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불국사는 쇠락하기는 했지만 조선중기까지 2,000여칸에 이르는 전각이 있었다고 하면, 임진왜란때 왜군이 절에 무기가 감추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모두 불태웠다고 한다. 이후 대웅전을 중심으로 일부…
-
경주 오릉 (사적),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와 초기 박씨 왕들의 능
신라 천년 고도 경주시 탑동에 있는 경주 오릉(사적)은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와 알영부인, 2대 남해왕, 3대 유리왕, 5대 파사왕의 능으로 전해지고 있다. 왕릉은 높이 10m대형 봉분인 1호무덤이 앞에 있고, 그 뒷편으로 표주박형으로 봉분이 2개인 무덤과 그 뒷편에 작은 봉분 2기가 있다. 발굴.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무덤의 형식은 4세기 이후 나타난 원형 봉통무덤으로 신라가 건국한 기원전후의 시기 무덤이…
-
서울 아차산성(사적), 한강유역 패권을 다투던 삼국시대 산성
아차산성은 아차산(해발 285m) 일대에 있는 삼국시대 산성이다. 아차산성을 누가 쌓았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원래 백제가 왕성이었던 하남 위례성(풍납토성)을 외곽에서 방어하기 위해 쌓은 것으로 원래는 행주산성처럼 토성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아차산성은 고구려가 점령하여 사용하다가, 한강유역 장악한 신라가 현재에 남아 있는 석축을 쌓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아차산성은 한강유역을 장악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아주 중요한 곳으로 삼국사기에는 중요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