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사당
-
광주 현절사, 병자호란때 순절한 삼학사를 모신 사당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내 있는 사당인 현절사(顯節祠)이다. 이곳은 병자호란때 순절한 3학사인 윤집.홍익한.오달제를 모신 곳이다. 숙종대인 1688년에 남한산성내 연무관 뒷편 언덕에 처음 세워졌으며 숙종으로부터 ‘현절사(顯節祠)’이름과 현판을 하사받았다. 삼학사는 병자호란때 끝까지 항복을 반대한 인물로 청나라 선양으로 끌려가 순절하였다. 1711년에는 당시 주전파를 대표하는 김상헌과 정온을 함께 모시게 되었다. 구한말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은 전국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건물은 앞면3칸에 맞배지붕을…
-
수원 화령전(사적), 정조대왕 어진을 모신 영전
수원 화성행궁에서 정전에 해당하는 봉수당 오른쪽에는 각종 연회나 행사가 열리던 화성행궁내에서 유일하게 남은 건물인 낙남헌과 오래된 목조 건물을 중심으로 한 건물군인 화령전(華寧殿, 사적)을 볼 수 있다. 이 곳은 수원화성과 행궁을 건설한 정조의 어진(御眞)을 모신 영전(影殿)으로 정조의 아들인 순조가 화성에 모셔진 정조의 건릉(健陵)과 사도세자의 (隆陵)을 참배할 때 문안을 올리기 위해 세었다고 한다. 화령전은 정조의 어진을 모신…
-
창덕궁 선원전(보물)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창덕궁 선원전(보물)는 역대 국왕의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정전인 인정전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선원전은 임진왜란을 경복궁 선원전이 불타버린 후 숙종대에 역대 국왕의 어진을 모시기 위해 창덕궁 궐내각사 뒷편에 세웠다. 원래는 태조, 세조, 원종을 모셨던 것을 후에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 철종, 고종의 어진이 봉안되면서 11실로 구성되었다. 건물은 앞면9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종묘 정전이나 일반적인 사당과 달리 판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