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현존하는 유일한 통일신라 철당간
충남 공주시 계룡산 갑사에 남아 있는 철당간(보물)이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유물로 갑사가 통일신라 화업십찰 중 하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당간은 사찰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사찰 입구에 세워진다. 네모난 기단 위에 철당간을 세우고 그 옆에 당간지주를 세워 지탱하고 있다. 당간의 높이는 15 m이고 당간지주의 높이는 3m이다. 당간은 원래 28개 철통을 연결해서 만들었는데 지금은 24개가 남아…
-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사탑(보물), 쌍탑 형식으로 만들어진 승탑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원주 영전사지 보제존자탑(보물)이다. 고려말 승려인 보제존자 나옹의 승탑이다. 원주 영전사지에 있던 것을 일제시대때 일본인들이 경복궁으로 옮겼던 것을 현재는 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승탑은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신 쌍탑 형식의 삼층석탑으로 만들어 졌다. 고려말에 통일신라 쌍탑 형식으로 세운 것도 특이하며, 제대로된 형태를 갖춘 삼층석탑 중에서는 후대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기단과 탑신…
-
양양 선림원지 승탑(보물)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승탑(보물)이다. 이 승탑은 일제강점기에 파괴되었던 것을 각 부재를 수습하여 복원한 것으로 지금은 기단부만 남아 있다. 원래는 절터 뒷편으로 50m 쯤 올라간 중턱이라고 한다. 네모난 바닥돌과 8각의 아래받침돌은 같은 돌로 2매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받침돌 각 면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안상안에는 사자 4쌍이 새겨져 있다. 아래받침돌 위에는 연꽃이 새겨진…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보물)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홍각선사탑비(보물)이다. 통일신라 때(886년)에 홍각선사를 기리기 위해서 세워진 탑비이다. 거북받침돌, 비몸, 머릿돌로 구성된 전형적인 탑비의 형태를 하고 있다. 조선시대 이전에 파손되어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던 것을 최근 몸돌을 복원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거북받침돌은 용의 머리가 직립하고 있는 모습이며, 비몸을 올려놓았단 자리에는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거북받침돌에는 “홍각선사비명”이라는 글자가…
-
양양 선림원지 석등(보물), 세부적인 조형미가 뛰어난 통일신라 석등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선림원지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등(보물)이다. 선림원지 옛절터 한쪽편 홍각선사탑비와 함께 있는 이 석등은 통일신라 때(88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8각형 평면을 기본을 기단과 화사석, 지붕돌로 구성된 기본적인 형태의 석등이다. 아래받침돌에는 안상이 새겨져 있으며 모서리에 귀꽃이 돌출되게 새겨져 있다. 가운데받침돌은 장고모양을 하고 있는데, 양끝에 구름무늬띠를 새겼으며 가운데에는 꽃송이를 조각했다.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
공주 갑사 승탑(보물), 생동감있는 조각상이 표현된 승탑
충남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 갑사에 승탑(보물)이다. 3단으로 된 기단 위에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승탑이다. 받침돌은 아래층이 넓고 위층을 좁게 만들었다. 아래받침돌에는 사자.구름.용을 입체감 있게 조각해 놓고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꽃장식과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을, 윗받침돌에는 연꽃잎을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문짝과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다. 지붕돌은 기와골 등을 실제 목조건축물처럼 섬세하게 조각했다.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다. 전체적으로 입체감…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보물)
전남 곡성군 죽곡면 동리산 태안사 입구에 있는 광자대사탑비(보물)이다. 고려초 태안사를 크게 일으킨 광자대사 윤다의 행적과 업적을 기리는 내용을 적은 탑비이다. 현재는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이 온전히 있으며, 글이 적힌 비몸은 일부 조각만 남아 있다. 거북받침돌은 사실적 표현과 조각수법이 돋보인다. 머릿돌에는 네귀퉁이에 이무기 머리를 조각했으며 앞면에는 극락조를 입체감있게 새겼다. 비봄이 파손되어 글자를 읽을 수 없지만 옛기록에 따르면 광자대사의…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보물), 태안사를 크게 중창한 승려 윤다의 승탑
전남 곡성군 죽곡면 동리산 태안사 입구에 있는 광자대사탑(보물)이다. 높이 약 3 m의 탑은 고려초 태안사를 크게 일으킨 승려 광자대사 윤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탑은 8각형으로 된 승탑으로 적인선사탑의 양식을 대체로 따르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에는 덩굴무늬와 연꽃무늬가 새겨졌다. 가운데받침돌은 낮게 만들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을 두 줄로 조각하였다. 탑신 몸돌에는 향로, 문짝, 사천왕상을 새겼다. 지붕돌은 높게 만들었는데 서까래,…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보물), 통일신라 말 선종 동리산파를 열었던 승려 혜철의 승탑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적인선사탑(보물)이다. 높이 3.1 m의 탑은 통일신라 때 승려 적인선사 혜철의 사리를 모신 승탑이다. 탑은 8각형으로 된 전형적인 승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은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각면에는 사자상을 입체감 있게 조각해 놓았다. 가운데받침돌은 낮게 만들었으며,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앞.뒤로 문짝과 그 주위로 사천왕상을 새겼다. 지붕돌은 넓게 만들었는데 서까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