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택

  • 상주 양진당(보물), 낙동강 주변 자연환경이 잘 반영된 고택

    경북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마을에 있는 고택인 양진당(보물)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검간 조정(1555 ~ 1536년)이 살았던 고택이다. 상량문에 따르면 1626년에 처음 짓기 시작하여 1628년에 완공되었으며 19세기에도 중수되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건물은 앞면 9칸, 옆면 7칸의 ‘ㅁ’자형 건물로 상당히 큰 규모의 대저택이었다. 낙동강 홍수로 자주 침수되는 지형적 조건 때문에 안채는 2층 누각처럼 지은 고상식 가옥이다. 세부적인 건축…

  • 상주 오작당, 임진왜란 직후에 지은 고택

    경북 상주시 낙동면 승곡리에 있는 고택인 오작당이다.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했던 조정(1555 ~ 1636년)이 지은 집이다.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에 처음 지었으며, 1661년(현종 3)에 현재이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뒷편에 사당이 있다. 낙동강변 저지대에 있는 지형적 조건 때문에 안채는 축대를 높게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려 놓고 있다. 인근에 있는 조정이…

  • 충주 윤양계 고택, 19세기 중부지방 양반가옥

    충북 충주시 엄정면 미내리에 있는 윤양계 고택이다. 이 가옥은 병마절제도위를 지낸 윤양계가 1873년에 건립되었다. 건물은  ‘-‘자형 안채를 중심으로 서쪽에 사랑채를 동쪽에 별채를 두고 있다.  각 건물들은 대부분 ‘-‘형을 이루고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앞에 넓은 마당을 두고 있다. 앞쪽에 사랑채를 두고 안쪽에 안채를 두어 ‘ㅁ’자형을 이루는 전통적인 양반가옥과는 달리 여러동의 건물을 넓은 공간에 배치하고 있는 등…

  • 정읍 전봉준 유적(사적), 전봉준 선생이 살았던 옛 집

    전북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 조소마을에 있는 전봉준 유적(사적)이다. 동학농민운동 지도자인 전봉준이 살았던 옛집이다. 구한말(1878)에 처음 지어진 건물로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1칸 규모로 초가지붕을 하고 있다. 부엌.큰방.웃방.끝방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일반적이 민가와는 다른 배치를 하고 있다 고택 앞 마을에는 당시에 사용되었던 공동우물이 남아 있다. 전봉준에는 이곳에서 농사일과 동네서당 훈장을 지내며 살았다고 한다. <정읍시 이평면 장내리…

  • 해남 해남윤씨 녹우당(사적), 윤선도 고택

    전남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에 있는 녹우당(사적)이다. 윤선도가 살았던 곳으로 잘 알려진 해남윤씨 고택으로 입향조인 윤효정이 연동리 마을에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처음 지은 집이다. 원래 있던 집에 윤선도가 효종으로 부터 하사받은 사랑채를 옮겨와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고 전한다. 집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마당 한쪽편에는 조상을 모시는…

  • 순천 낙안읍성 서문성벽집

    전남 순천시 낙안면 서대리 낙안읍성 서문 바깥쪽에 있는 서문성벽집이다. 건물은 ‘-‘자형 안채와 헛간채, 가게로 사용되었던 작은 별채가 있다.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안채는 부엌, 안방, 마루, 윗방이 나란히 배채되어 있다. 헛간, 돼지막 등으로 사용되었던 헛간채가 대문 오른쪽에 있다.  안채는 19세기 지어진 건물로 전형적인 읍성내 가옥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낙안읍성 서문 입구에서 있으면서 상점 역할을 했던 것으로…

  • 순천 낙안읍성 마루방집

    전남 순천시 낙안면 서내리 낙안읍성 안에 있는 마루방집이다. 낙안읍성 내 동.서를 연결하는 큰 길 옆에 있는 초가로 지은 가옥이다. 마당이 비교적 넓은 집으로 안쪽에 ‘-‘자형 안채가 자리잡고 있다. 안채는 부엌.안방.마루.작은방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으며, 부엌에는 조왕신을 모시던 자리가 남아 있다. 초가집이지만 비교적 큰 규모의 가옥으로 관아에 근무했던 아전 또는 향리가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집이다. <낙안읍성 마루방집>…

  • 보성 벌교읍 현부자네, 소설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일제강점기 개량한옥

    전남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에 있는 한옥인 「현부자네」이다. 조정래 소설 <태백산맥>에 첫장면에 등장하는 회정리 현부자집으로 잘 알려진 집이다. 외관상 기와를 얹은 전통 한옥처럼 보이지민, 일제강점기에 유행했던 일종의 개량한옥이다. 주로 농촌 지역 신흥 대지주 계층이 살았던 저택의 형태로 전국적으로 많이 지어졌던 주택형태이지만 지금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소설 <태백산맥> 첫장면에 정하섭이 새끼무당 소화의 집을 찾아가면서 자세히 묘사되어…

  • 보성 벌교읍 김범우의 집, 소설 ‘태백산맥’에 소개된 대지주 저택

    전남 보성군 벌교읍 봉림리에 있는 큰 규모의 낡은 고택이다. 저택은 낡은 담장으로 둘러져 있는데 대문을 들어서면 중문이 있는 사랑채가 있으며, 중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배치되어 있다. 두건물 모두 ‘-‘자형으로 앞뒤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담벼락이 허물어지는 등 아직 정비되지 않은 옛 한옥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붉은 벽돌로 수리해서 사용한 부분도 남아 있다. 이 집은 대지주였던 김씨집안 소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