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이집트
-
[중앙박물관 세계문화관] 이집트인의 삶, 일상생활
이집트문명은 기원전 3천년 경 나일강 하구에서 시작되었다. 이집트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사막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적도 부근 빅토리아호수와 에디오피에서 우기에 내린 비가 흘러 내려오면 나일강은 범람하여 주변 토지를 비옥하게 하였다. 홍수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천문학, 수학, 토목기술 등을 발달시켰으며 상형문자는 이집트인들이 살았던 모습과 역사, 정신세계 등을 오늘날까지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다. 나일강 주변의 늪지대는 이집트인들에게 중요한…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신성한 동물들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는 동물들도 신성한 존재로 여겼으며, 수많은 신들과 동물들의 특징을 연관지어 신과의 매개체로 여겨습니다. 초기에는 조각상 등으로 만들어져 신전에 모셔졌으며, 후대에 미라로 만들어져 신에게 받쳐졌다. 바스테트와 연관된 고양이를 비롯하여 호루스를 상징하는 매, 태양신 레(Re)와 동일한 존재로 여겨졌던 암사자 여신 사크메트, 혼돈과 두려움의 존재인 소베크를 상징하는 악어, 고대 멤피스에서 숭상받았던 아피스 황소 등 다양한 동물들이…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동물 미이라
고대 이집트인들인 사람의 시신뿐만 아니라 동물도 미라로 만들어 보존하였다. 이는 동물을 신성한 존재로 여겼다기 보다는 신에게 바람을 전하거나 희생의 역할을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수천 만 구에 이르는 많은 동물미라들이 발견되고 있는데 특별한 의미를 갖는 동물들이 미라로 만들어졌다. 황소, 고양이, 땃쥐, 매, 악어, 따오기, 쇠똥구리 등 다양한 동물들이 미라로 만들어졌는데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특별한 의미를…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장례의식
고대 이집트인의 사후세계에 대한 생각들은 그들이 남긴 무덤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들은 영원한 삶을 얻기 위해 생전에 많은 준비를 하였으며 무덤에서 출토된 다양한 껴묻거리와 장례절차를 표현한 문서인 ‘사자의 서’에서 이를 잘 살펴볼 수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장례방식인 미이라는 이집트 문명을 대표하고 있으며, 다양한 껴묻거리는 후대 다른 문명권에도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장례방식은 비교적…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그림이 새겨진 새김돌
고대 이집트문명이 남겨준 유물 중 많이 남아 있는 형태인 그림이 새겨진 새김돌이다. 이집트인들은 신전이나 무덤에 벽화를 그리거나 그림을 얇게 새겨 놓았다. 그림들은 신이나 죽은이를 위해 봉헌하는 의식을 표현하는 내용이 많은 편이다. <인물(이루카프타) 조각상, 사카라, 기원전 2454~1350년경(제5왕조), 석회석> 이 조각상의 주인공은 ‘이루카프타’이며, 사후세계에서 풍족한 삶을 누리기 위해 의자 옆면에 봉헌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새겼습니다. 이집트 사람들은 죽은…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껴묻거리, 장신구
다른 지역의 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이집트인들은 다양한 장신구들을 죽인이를 위해 무덤에 함께 묻었다. 비교적 이른시기부터 고대 이집트인들의 정신세계를 반영한 화려한 색감, 다양한 재질, 독특하면서 완성도 높은 조형미 등을 갖춘 다양한 장신구들이 오늘날까지 전해내려고 있다. 그중 펜던트(Pendant)라 불리는 목걸이에 메다는 장식에는 쇠똥구리모양의 스카라브, 이시스의 매듭, 와제트 눈, 새모습의 바 등 이집인의 정신세계를 살펴볼 수 있으며, 지금도 고대 이집트…
-
[중앙박물관특별전, 이집트보물전] 샵티(Shabty), 사후세계 동행을 위해 함께 묻은 인형
샵티(Shabty)는 고대 이집트에서 죽은이의 사후세계를 동행하는 역할로 무덤에 껴묻거리로 묻어지는 인형을 말한다. 대체로 주인을 위해 대신 일을하는 역할을 하며 사후세계를 표현한 『사자의 서』 에도 언급되어 있다. 이는 삼국시대 고분 등에서 발견되는 인물형 토우와 같은 역을 하며 여러지역에서 있었던 순장풍습의 발달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귀족이나 일반인들 사이에 유행하다가 왕족의 장례에도 받아들여졌던 것으로 보인다. <삽티의 머리(Head from…
-
[중앙박물관특별전,이집트보물전] 껴묻거리
껴묻거리는 무덤에 시체를 안치할 때 함께 넣는 물품으로 수장품 또는 부장품이라고도 부른다. 그 유래는 구석기시대까지 올라가며 죽은이 삶을 되돌아 보거나 사후세계에 사용할 물건들이 포함된다. 이집트인들은 무덤에 장신구, 화장도구, 음식을 담았던 그릇, 사후세계에 동행할 사람을 형상화한 인형 등을 묻었으며 다양한 껴묻거리들이 무덤에서 출토되어 당시 사람들의 사후세계관과 살았던 모습들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영원한 삶을…
-
[중앙박물관특별전,이집트보물전] 사자의 서 (Book of the Dead)
이집트인 사후세계에 대한 생각을 잘 보여주며 후대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유물인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이다. 고왕국시대 무덤 내부 벽에 새겼던 주문과 부적에서 유래하고 있으며, 중왕국시대 귀족이나 부자의 관속에 내세의 삶을 기원하는 문구를 적은 껴묻거리였다. 이집트인 장례절차와 사후사계에 대한 안내서에 해당하며 파피루스 등에 상형문자로 기록하였다. 내용 중에는 심장의 무게를 다른 최후의 재판이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