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정자
-
동해 북평 해암정(北坪海岩亭)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에 있는 북평 해암정이다. 고려말 삼척 심씨의 시조인 심동로가 이 지방으로 낙향하면서 처음 세웠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530년 후손인 심언광이 중건한 것을 여러차례 수리하면서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 학자이자 실력자인 송시열이 함경도로 유배가는 길에 이곳에서 글을 남기기도 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평범한 규모의 정자건물이다. 영동지방에서 가장 큰…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흥선대원군이 인왕산 계곡에 세웠던 별장
인왕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흥선대원군 별장이었던 석파정(石坡亭)이다. 정자로 지어진 별장 건물이지만 사랑채, 안채, 별채, 정자 등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살림집이다. 건물은 구한말 한옥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국 건축의 영향을 받아 벽돌을 여러곳에 사용하고 있다. 특히 홍지문부근으로 옮겨진 중국풍의 별채와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정자는 기존 한옥과는 달리 벽돌, 금속 등의 건축자재를 이용하여…
-
창덕궁 후원, 옥류천일원
창덕궁 후원 깊은 곳에 위치한 옥류천 일원이다. 이곳은 옥류천 물길을 널찍한 바위인 소요암 위를 흐르게 만든 어정(御井)을 중심으로 작은 정자들인 소요정, 취한정,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이 모여 있다. 이들 정자들은 농산정을 제외하고는 국왕이 비를 피하거나 잠시 쉬어갈 수 있는 1~3칸규모의 작은 정자이다. 옥류천 일대 정자들은 대부분 인조대에 지어진 것으로 기록에 남아 있으며, 옥류천(玉流川)일 적힌 선조의 글씨가…
-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폄우사
창덕궁 후원 3번째 공간은 한반도 모양을 하고 있는 연못인 반도지(半島池)를 중심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영화당과 규장각 주합루가 있는 부용정 부근이 공적인 성격이 강하다면, 연못 주위에 작은 정자들이 있는 반도지 일대는 국왕 개인을 위한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도지는 원래 둥근 연못 1곳과 작은 네모꼴 연못 2개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변형되었다고 한다.…